|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 Pl. Taxon > Volume 50(4); 2020 > Article
온라인 생물정보 플랫폼에 기반한 가산의 관속식물목록

적 요

경상북도 칠곡군에 위치한 가산(902 m)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4년부터 2015년까지 10회의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지조사 결과 가산의 관속식물 81과 212속 289종 8아종 20변종 5품종으로 총 322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조사된 분류군 중 한반도 특산식물은 14분류군, 희귀식물은 6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48분류군이었으며 귀화식물은 14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역은 세잎승마와 노랑무늬붓꽃의 분포한계 지역이었으며 가산산성 일대에서 금붓꽃과 노랑무늬 붓꽃의 잡종개체군을 확인하였다. 조사지역에서 수집된 관속식물 증거표본 325점은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표준 표본관에 보관하였고 디지털 이미지로 만들어 https://oasis.kiom.re.kr/herblib 에 공유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식물상 연구분야에서 증거표본의 디지털 이미지를 공유한 최초의 연구로서 큰 의미를 갖는다.

Abstract

Here, we present an updated checklist based on voucher specimens of vascular plants for Gasan Mt. which is located in Chilgok-gun, Gyeongsangbuk-do, South Korea. The list includes 322 taxa in 212 genera and 81 families of vascular plants, of which 14 are endemic, six are rare plants, 48 are floristic target species, and 14 are considered naturalized in Korea. Based on voucher specimens, Gasan Mt. was the southern limit of 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and Iris odaesanensis Y. N. Lee on the Korean peninsula. Moreover, we confirmed a hybrid plant deriving from two Iris parents, I. minutoaurea Makino and I. odaesanensis, in a mountain fortress of Gasan Mt. We also present online databases including 325 voucher specimens deposited at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KIOM; https://oasis.kiom.re.kr/herblib).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as the first floristic study of Korean plants sharing virtual specimens online.

생물을 재료로 하는 연구에서 증거표본 확보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식물의 동정은 연구자의 주관적 견해 또는 종의 개념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특정 분류군 전공자라도 오동정이 있을 수 있다. 표본은 연구 재료의 불확실성 속에서 동정을 위한 객관적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환경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모니터링 자료, 식물구계를 재검토할 수 있는 정보와 함께 식물학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는 분포정보를 제공하고 분류학, 계통학, 형태학, 보존생물학, 생물다양성, 고생물학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 필수적인 비교 자료가 된다(Funk, 2003; Suarez and Tsutsui, 2004).
한반도를 대상으로 한 식물상 연구는 한국식물분류학회지, 한국식물학회지, 자원보존, 한국자원식물학회지 및 기타 대학 학술지 등에서 찾을 수 있다. 한국식물분류학회지에는 1969년 창간호에 처음으로 Lee (1969)에 의한 식물상 연구 “대암산의 습원식물”이 출판되었다. 그 후로 약 200편의 식물상 연구가 보고되었으나(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2020) 2005년에 와서야 처음으로 증거표본 목록이 제시되었다. Kim et al. (2005)은 “석회암지대인 덕항산(강원)의 관속식물상과 식물지리” 연구에서 처음으로 증거표본의 목록을 제시하여 결과의 신뢰성을 높였으며, 최근 식물분류학회지에 발표된 식물상 연구는 모두 증거표본 목록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증거표본이 확보된 식물상 연구라 하더라도 오동정에 의한 부정확한 목록이 제시될 수 있다. Yang et al. (2015)은 울릉도의 관속식물상을 발표하여 울릉도 지역의 식물분포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 연구는 증거표본에 근거한 목록을 제시했지만, 목록에는 부처꽃과 털부처 꽃이 각각 독립된 두 종으로 기록되었고 이는 동일한 종에 대한 오동정의 결과로 판단된다. 또한 국립수목원에서는 2003년부터 13년간 한반도 관속식물 분포도 발간사업을 수행하여 국내 최초로 『한반도 관속식물 종합 분포도』를 발행하였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여기에는 증거표본을 근거로 한 동정 결과를 바탕으로 식물목록을 제시하였는데, 수염현호색[Corydalis caudata (Lam.) Pers.], 긴산꼬리풀(Veronica longifolia L.), 흑박주가리 [Cynanchum nipponicum var. glabrum (Nakai) H. Hara] 등은 오동정에 의한 분포로 보인다.
최근 증거표본을 근거로 한 식물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다른 연구자가 수집한 증거표본을 확인하고 관찰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있다. 또한 다수의 식물상 연구는 주로 대학에서 수행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수집된 증거표본들은 각 학교 내 표본관에 수장되어 있다. 대학의 표본관들은 인력, 수장 공간, 예산 등의 문제로 인하여 표본 배열 또는 디지털화가 미흡한 상황으로 증거표본 열람이 어려운 경우가 빈번하다.
우리는 이와 같은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이번 연구에 이용된 모든 증거표본 디지털 이미지를 온라인으로 공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칠곡군에 있는 가산의 관속식물을 조사하고 증거표본을 확보한 후, 증거표본의 정확한 동정 결과에 의한 식물 목록을 제시함과 동시에 디지털 이미지와 함께 표본의 상세정보를 웹페이지 링크로 제공하였다.
가산(902 m)은 팔공산(1,193 m)과 함께 낙동정맥의 지맥인 팔공지맥을 형성하고 위도 36°02'14.1", 경도 128°34'57.6" 일대에 위치한다. 연중 강수량은 672.2–1,253.0 mm, 연평균 기온 14°C, 최저기온 –10°C, 최고기온 38°C 정도로 강수량이 적고 한서의 차가 큰 남부내륙형의 기후대에 속한다(Chilgok-gun, 2019). 가산의 식물상은 Kim et al. (1990)에 의하여 105과 350속 616분류군으로 보고되었으나 식물 목록과 증거표본은 제시하지 않았다. Kim and Eo (1998)는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가산의 관속식물 279분류군을 보고하였고 Park et al. (2015)은 최근 연구에서 가산 습지에 분포하는 식물 20종을 보고하였다. 이처럼 가산을 대상으로 한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식물상 연구는 미흡하므로 가산의 정확한 식물 목록을 정리하고 증거표본을 확보하는 작업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식물 목록은 정명과 이명관계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오동정을 교정함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식물상 연구자들은 동정이 어려운 특정 분류군 전문가들에 의한 재검토 후 정밀한 연구결과를 보고할 수도 있다. 이번 연구도 오동정과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 제공하는 증거표본의 상세 정보 페이지에서 해당 분류군의 전문가뿐만 아니라 모든 이용자가 주석 정보를 추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더욱 정확한 동정 결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식물상 연구와 증거표본 확보의 중요성이 다시 한 번 환기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가산의 식물목록에 대한 증거표본 이미지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교정 가능한 식물 목록을 제시함으로써 이 지역의 식물분포학적 특성을 고찰하고 특정 식물의 보전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가산의 관속식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4년 4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총 10회의 현지 조사에서 증거표본을 수집하였다(Fig. 1, Table 1). 동정의 정확성을 위하여 꽃, 열매, 포자 등 생식기관을 포함한 개체만을 수집 대상으로 하였고 수집된 표본은 석엽표본으로 제작하여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표준표본관(KIOM)에 보관하였다.
표본의 동정은 Lee (1980), Lee (1996), Park (2009) 등의 도감을 이용하였고 분류군의 학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17)을 따랐으나 일부 분류군은 The Plant List (2013)를 참고하였다. 과명과 분류체계는 양치식물은 PPG I (The Pteridophyte Phylogeny Group, 2016), 피자식물은 APG IV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et al., 2016)에 따라 배열하였고 속과 종은 알파벳순으로 배열하였다. 주요 식물인 한반도 특산식물(Chung et al., 2017), 희귀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을 정리하였으며 귀화식물은 Kang et al. (2020)을 참고하였다. 분포의 특이성을 보이는 분류군을 파악하기 위해 한반도 관속 식물 분포도(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등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http://www.nature.go.kr)의 표본을 확인하였다. 조사지역의 관속식물 목록은 기존 연구인 Kim and Eo (1998)의 결과와 이번 연구에서 확인된 결과를 종합하여 작성하였다(Appendix 1). 특히 이번 연구에서 확인된 분류군은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고 향후 오동정의 교정을 위하여 증거표본이 확보된 것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식물명과 함께 증거표본번호와 표본의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웹페이지 링크를 제시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확보된 모든 수집품은 다른 연구자들과의 공유를 위하여 디지털 이미지로 만들어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표준표본관 (KIOM) 웹사이트 (http://oasis.kiom.re.kr/herblib/)에 공유하였다. 디지털 이미지는 제작된 표본을 EPSON 11000XL 평판스캐너(Tokyo, Japan)를 이용하여 3,443 × 4,951의 해상도로 스캔하여 만들었다.

결과 및 고찰

관속식물상

1. 증거표본에 의한 가산의 관속식물

이번 연구에서는 가산의 관속식물 81과 212속 289종 8아종 20변종 5품종으로 총 322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이는 재배식물을 제외한 국내 자생식물 4,171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중 7.7%에 해당하며 양치식물은 7과 9속 14분류군, 나자식물 1과 1속 1분류군, 피자식물 73과 202속 307분류군이었다(Table 2). 이 지역의 식물상에 대한 선행연구는 Kim et al. (1990)Kim and Eo (1998)이 있다. Kim et al. (1990)은 가산의 관속식물 616분류군을 보고하였는데 식물목록을 제시하지 않아서 목록의 비교 및 분석에 어려움이 있다. 한편 Kim and Eo (1998)은 증거표본정보와 함께 279분류군의 목록을 보고하였는데 이 중 이명으로 처리되고 있는 벌엉겅퀴(Circium tanakae Matsum), 취(Aster ageratoides subsp. amplexifolius Kitam.), 큰제비쑥(Artemisia japonica var. manshurica Kom.), 왕잔대(Adenophora tyosenensis Nakai), 민백당나무(Vibrnum sargentii var. calvescens Rehder), 덤불꼭두서니(Rubia cordifolia var. sylvatica Maxim.), 개솔나물(Galium verum f. intermedium Nakai), 송금나무(Callicarpa japonica var. taguetii Nakai), 털쥐손이풀(Geranium eriostemon var. typicum Maxim.), 흰싸리(Lespedeza bicolor f. alba Nakai), 왕팥배나무(Sorbus alnifolia var. macrophylla Nakai), 줄고마리 (Polygonum thynbergii var. stolonifera Nakai), 혹느릅나무(Ulmus davidiana f. suberosa Nakai)를 제외한 265분류군으로 정리되었으며 이번 연구에서 확인된 관속식물과 함께 Appendix 1에 목록으로 제시하였다.
가산의 산림식생은 크게 저지대의 일본잎갈나무[Larix kaempferi (Lamb.) Carrière] 조림지와 산림식생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산지식생, 정상부의 관목림으로 구분되었다. 일본잎갈나무 조림지는 주로 금화리와 남원리 일대의 저지대에 넓게 분포하고 있었다. 여기에는 노루발(Pyrola japonica Klenze ex Alef.), 꽃마리[Trigonotis peduncularis (Trevis.) Benth. ex Baker & S.Moore], 큰개불알풀(Veronica persica Poir.) 등의 초본과 박쥐나무[Alangium platanifolium (Siebold & Zucc.) Harms], 쥐똥나무(Ligustrum obtusifolium Siebold & Zucc.)등의 관목이 분포하였다. 산지식생에는 물오리나무[Alnus hirsuta (Spach) Rupr.], 층층나무(Cornus controversa Hemsl.), 곰의말채나무(Cornus macrophylla Wall.), 서어나무[Carpinus laxiflora (Siebold & Zucc.) Blume] 등의 낙엽활엽수로 대표되었으며 계곡 근처에는 함박꽃나무(Magnolia sieboldii K.Koch)와 쪽동백나무(Styrax obassis Siebold & Zucc.)가 주로 관찰되었다. 정상부의 관목림에는 쇠물푸레나무(Fraxinus sieboldiana Blume), 비목나무(Lindera erythrocarpa Makino), 졸참나무(Quercus serrata Murray) 등의 아교목과 조록싸리(Lespedeza maximowiczii C. K. Schneid.), 국수나무[Stephanandra incisa (Thunb.) Zabel], 조팝나무[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Nakai) Nakai],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Nakai) L. H. Bailey] 등의 관목이 우점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2. 특산식물

가산의 한반도 특산식물은 금오족도리풀[Asarum patens (Yamaki) Yamaki ex Y. N. Lee], 백운산원추리(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Dunn) Nakai],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Nakai) L. H. Bailey] 등 14분류군이었으며(Table 3), 한반도 특산식물 360분류군의 3.8%에 해당한다(Chung et al., 2017). 특산식물들은 가산 전 지역에 걸쳐 생육하였으나 몽울토현삼(Scrophularia cephalantha Nakai)은 북쪽 사면에 드물게 관찰되었고 흰괭이눈[Chrysosplenium pilosum var. sphaerospermum (A.Terracc.) H. Hara]과 자란초(Ajuga spectabilis Nakai)는 계곡부에 제한적으로 분포하였다.

3. 희귀식물

산림청 국립수목원과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희귀식물의 관리를 위하여 세계자연보전연맹의 권고에 따라 목록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국립수목원(Korea National Arboretum, 2008)의 기준에 따르면 가산의 식물 중 금붓꽃(Iris minutoaurea Makino), 노랑무늬붓꽃(I. odaesanensis Y. N. Lee), 세잎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3분류군이 취약종(vulnerable, VU)이었고 덩굴꽃마리 [Trigonotis icumae (Maxim.) Makino], 나도개감채[Lloydia triflora (Ledeb.) Baker], 너도바람꽃(Eranthis stellata Maxim.)의 3분류군이 약관심종(least concerned, LC)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지정한 적색목록 식물은 약관심종인 금붓꽃, 노랑무늬붓꽃, 덩굴꽃마리 3분류군이었다(Table 4).
세잎승마는 북서쪽 능선에 드물게 생육하고 있었으며 너도바람꽃, 나도개감채와 덩굴꽃마리는 금곡사 주변 계곡과 사면부의 자생지를 확인하였다. 금붓꽃과 노랑무늬붓꽃은 가산산성을 따라 혼생하여 분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Son et al. (2015)은 가산지역의 금붓꽃과 노랑무늬붓꽃의 자연잡종 현상에 대하여 보고한 바 있다. 가산의 잡종개체군은 기존 관련 문헌에서 노랑붓꽃(Iris koreana Nakai)으로 동정되던 집단으로서 두 모집단인 금붓꽃, 노랑무늬붓꽃와 혼생하여 분포하였고 화색과 자방의 위치 등의 형질에서 중간형질을 나타냈다(Fig. 2). 한편 잡종개체군은 금붓꽃, 노랑무늬붓꽃, 노랑붓꽃에 비하여 열매가 결실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4.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이번 연구에는 가산에 분포하는 특정식물 48분류군을 확인하였다. IV등급은 꽃싸리[Campylotropis macrocarpa (Bunge) Rehder], 노랑무늬붓꽃, 세잎승마 등 3분류군, III 등급은 애기참반디(Sanicula tuberculata Maxim.), 노랑갈퀴(Vicia chosenensis Ohwi), 남도현호색(Corydalis namdoensis B. U. Oh & J. G. Kim), 노루삼(Actaea asiatica H. Hara) 등 13분류군이 관찰되었다(Table 5). II등급은 개시호(Bupleurum longiradiatum Turcz.), 큰참나물[Cymopterus melanotilingia (H.Boissieu) C. Y. Yoon], 둥근이질풀(Geranium koreanum Kom.), 노랑제비꽃[Viola orientalis (Maxim.) W. Becker], 돌양지꽃[Potentilla ancistrifolia var. dickinsii (Franch. & Sav.) Koidz.] 등 17분류군, I등급은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Dunn) Nakai], 투구꽃(Aconitum jaluense Kom.), 대극(Euphorbia pekinensis Rupr.) 등 15분류군이 확인되었다(Appendix 1). 한편 IV등급종인 등[Wisteria floribunda (Willd.) DC.]은 식재분포하고 있었으므로 특정식물종 목록에서 제외하였다.

5. 귀화식물

조사지역에 유입된 귀화식물은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L.), 미국실새삼(Cuscuta pentagona Engelm.),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L.), 큰개불알풀(Veronica persica Poir.), 오리새(Dactylis glomerata L.) 등 14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Table 6). 조사지역의 도시화지수(Urbanization Index: 귀화식물의 종수/남한 귀화식물 총 종수×100=14/427×100)은 3.2%, 귀화율(Naturalized Index: 귀화식물의 종수/출현식물의 총 종수×100=14/322×100)은 4.3%이었다. 귀화식물의 비율은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지만 야영장과 주차장 주변을 중심으로 한 귀화식물의 확산이 가속화되고 있어 주의 깊은 관찰 및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인 돼지풀과 미국쑥부쟁이[Symphyotrichum pilosum (Willd.) G. L. Nesom], 애기수영(Rumex acetosella L.)이 진남문 주차장 일대와 금화지 주변에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에 대한 정확한 분포 현황과 확산 방지를 대책이 필요하다. 특히 미국쑥부쟁이와 애기수영은 가산산성 동문 근처에도 관찰되었으며 산림 내부로의 침투가 우려되므로 적극적인 방제 작업 등이 요구된다.

6. 분포특이종

가산 또는 이 일대 식물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분포 특이성을 나타내는 분류군들을 조사하였다. 세잎승마는 Nakai (1909)에 의해 변종으로 발표되었으며 Actaea 속에 포함하여 종 수준에서 다루기도 한다(Compton et al., 1998). 주로 강원도와 경북의 태백산맥을 따라 분포하며 통영에도 분포한다(Lee et al., 2000) (Fig. 3A). 노랑무늬붓꽃은 Lee (1974)에 의해 오대산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토함산, 보현산, 주왕산, 치악산, 소백산, 태백산 등 강원도와 경상북도의 산지에 자라는 특산식물로 알려져 있다. Flora of China (Zhao et al., 2000)에서는 길림성의 분포를 기록하고 있으며 특산식물로서의 지위 확인을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가산·토함산 일대가 이 종 분포의 남방한계인 것으로 판단된다(Fig. 3B). 몽울토현삼은 경남 통영 미륵산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어 신종으로 발표되었다(Nakai, 1938). 이후 여러 연구자에 의하여 큰개현삼(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의 이명으로 다루었으나(Han et al., 2009; Jang, 2010), Jang et al. (2011)은 개화기 및 형태형질의 차이를 인식하여 큰개현삼과 독립된 종으로 처리하였다. 표본 검토 결과 본 종은 일월산, 주왕산 등 태백산맥을 따라 통영 미륵산까지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Fig. 3C).
이 분류군들의 특징은 주로 태백산맥을 따라 분포하는 특성을 보이며 가산과 팔공산 일대가 경상도 내륙지역의 남북을 잇는 중요한 지역임을 알 수 있다. 이들 분류군은 조사지역 일대의 분포특성뿐만 아니라 한반도 전체의 분포학적 논의를 위한 높은 학술적 가치를 갖는 분류군들이므로 주변 지역의 정밀한 자생지 조사가 필요하다.

식물상 연구와 증거표본의 중요성 및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한 표본 정보 공유

증거표본 확보의 중요성은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강조되어 왔다(Funk, 2003; Suarez and Tsutsui, 2004). 국내에서는 Im (1999)이 식물상 연구와 증거표본 확보의 중요성에 대하여 강조하였고 한국식물분류학회는 식물상 연구의 투고원칙에서 “증거표본 정보(collection number 및 표본 소장처)”를 반드시 명시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2020).
2020년 한국식물분류학회지에는 Sun et al. (2020), Hwang et al. (2020), Park et al. (2020), Kim et al. (2020) 등에 의한 식물상 연구가 출판되었다. 이 연구들 모두 의미 있는 분석 결과와 함께 증거표본 정보를 제시하고 있지만 다른 연구자들이 증거표본을 직접 확인하기에는 여전히 많은 시간적, 공간적 제약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식물상 연구들의 한계를 개선하고자 수집된 모든 증거표본을 디지털 이미지로 만들어 수집 정보와 함께 웹페이지 링크로 제시하였다. 가산에 자생하는 관속식물 322분류군 325점을 확보하였고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표준표본관 웹사이트 https://oasis.kiom.re.kr/herblib/ [id: flora, password: flora123]에 공유하였다. Appendix 1의 표본번호를 클릭하여 해당 표본을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표본에 대한 의견을 추가하여 오동정을 교정할 수 있다(Fig. 4). 이 연구는 국내 식물상 연구 분야에서 최초로 증거표본에 대한 디지털 이미지를 제시하였고, 동정의 오류를 다른 연구자들이 교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이와 같은 우리의 시도가 향후 수행될 다른 식물상 연구뿐만 아니라 식물을 주제로 하는 모든 연구 분야에 적용되기를 기대하여 본다.

ACKNOWLEDGMENTS

This research was funded by a grant from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Application for Standard Herbal Resources (KSN2012320) from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KIOM), South Korea.

NOTES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re are no conflicts of interest.

Fig 1.
Floristic routes on Gasan Mt., ★: investigated area (Chilgok-gun, Gyeongsangbuk-do, Korea).
kjpt-50-4-453f1.jpg
Fig 2.
Photographs of three taxa in the genus Iris and its floral characters. A, G. Iris minutoaurea (○), B, D, H. Iris hybrid plant (×), C, I. Iris odaesanensis (●), E, F. flowers of three taxa. Arrows indicates the position of ovary. Scale bars = 1 cm.
kjpt-50-4-453f2.jpg
Fig 3.
Maps of three taxa which have unique distribution in Korea. A. 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B. Iris odaesanensis Y. N. Lee, C. Scrophularia cephalantha Nakai. Maps were modified from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 confirmed in this study; ●, previously recorded distribution; ○, additionally indentified specimens from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http://www.nature.go.kr) (S. cephalantha: KBNA200102121066 [Samui-ri, Yeongyang-gun, 4 Jun 1972, S. Y. Oh 3909, KNU], KBNA200408262137 [Unmun-ryeong, Cheongdo-gun, 9 Jun 2001, Yang et al., s.n. KNU], KUSA200408182038 [Palgong-san, Daegu-si, 24 May 1998, Kim et al. 24316, YNUH]).
kjpt-50-4-453f3.jpg
Fig 4.
KIOM databases with metadata, map, and herbarium specimen image (A), and a scanned specimen image of Corydalis namdoensis (B). A arrow displays the annotation function.
kjpt-50-4-453f4.jpg
Table 1.
Floristic routes with dates of Gasan Mt.
No. Date Investigation route
1 23 Apr 2014 Geumhwaji reservoir → Geumgok temple
2 2 May 2014 Geumhwaji reservoir → Geumgok temple → Gyejeong temple
3 10 May 2014 Jinnammun gate → Namporu → Dongmun gate → Jungmun gate → Gasanbawi → Seomun gate → Bukmun gate → Gasan-bong → Dongmun gate → Bukbawi → Jinnammun gate
4 18 Jun 2014 Geumhwaji reservoir → Moraejae
5 28 Jul 2014 Geumhwaji reservoir → Moraejae → Seomun gate → Bukmun gate → Gasanbawi → Moraejae
6 30 Sep 2014 Geumhwaji reservoir → Geumgok temple
7 5 Oct 2014 Jinnammun gate → Namporu → Gasanbawi → Jungmun gate → Namporu → Hyeowon temple → Jinnammun gate
8 17 Apr 2015 Geumhwa camping area → Moraejae → Seomun gate → Bukmon gate
9 27 Apr 2015 Geumhwa camping area → Moraejae → Seomun gate → Gasanbawi
10 28 Jul 2015 Gasan fortress trekking center → Forest trail → Bukbawi → Dongmun gate
Table 2.
Summary data on the flora of Gasan Mt.
Taxon Family Genus Species Subspecies Variety Forma Total Proportion (%)
Pteridophyta 7 9 14 14 4.3
Gymnospermae 1 1 1 1 0.3
Angiospermae 73 202 274 8 20 5 307 95.4
 Dicotyledons 59 163 220 8 18 3 249 77.4
 Monocotyledons 14 39 54 2 2 58 18.0
Total 81 212 289 8 20 5 322 100
Table 3.
List of the Korean endemic plants investigated in Gasan Mt.
No. Family Taxon
1 Aristolochiaceae Asarum patens (Yamaki) Yamaki ex Y. N. Lee 금오족도리풀
2 Asphodelaceae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백운산원추리
3 Asteraceae Cirsium setidens (Dunn) Nakai 고려엉겅퀴
4 Caprifoliaceae Weigela subsessilis (Nakai) L. H. Bailey 병꽃나무
5 Fabaceae Vicia chosenensis Ohwi 노랑갈퀴
6 Iridaceae Iris odaesanensis Y. N. Lee 노랑무늬붓꽃
7 Lamiaceae Ajuga spectabilis Nakai 자란초
8 Papaveraceae Corydalis namdoensis B. U. Oh & J. G. Kim 남도현호색
9 Paulowniaceae Paulownia coreana Uyeki 오동나무
10 Plantaginaceae Veronica pyrethrina Nakai 큰구와꼬리풀
11 Ranunculaceae 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세잎승마
12 Ranunculaceae Clematis trichotoma Nakai 할미밀망
13 Saxifragaceae Chrysosplenium pilosum var. sphaerospermum (A. Terracc.) H. Hara 흰괭이눈
14 Scrophulariaceae Scrophularia cephalantha Nakai 몽울토현삼
Table 4.
List of rare plants investigated in Gasan Mt
No. Family Taxon Criteria
KNA NIBR
1 Iridaceae Iris minutoaurea Makino 금붓꽃 VU LC
2 Iridaceae Iris odaesanensis Y. N. Lee 노랑무늬붓꽃 VU LC
3 Ranunculaceae 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세잎승마 VU -
4 Boraginaceae Trigonotis icumae (Maxim.) Makino 덩굴꽃마리 LC LC
5 Liliaceae Lloydia triflora (Ledeb.) Baker 나도개감채 LC -
6 Ranunculaceae Eranthis stellata Maxim. 너도바람꽃 LC -

KNA, Korea National Arboretum; NIBR,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VU, vulnerable; LC, least concern.

Table 5.
List of floristic target species showing category III to V investigated in Gasan Mt.
No. Family Taxon Category
1 Fabaceae Campylotropis macrocarpa (Bunge) Rehder 꽃싸리 IV
2 Iridaceae Iris odaesanensis Y. N. Lee 노랑무늬붓꽃
3 Ranunculaceae 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세잎승마
4 Apiaceae Sanicula tuberculata Maxim. 애기참반디 III
5 Apiaceae Angelica genuflexa Nutt. ex Torr. & A. Gray 왜천궁
6 Boraginaceae Brachybotrys paridiformis Maxim. ex Oliv. 당개지치
7 Fabaceae Vicia chosenensis Ohwi 노랑갈퀴
8 Melanthiaceae Veratrum maackii Regel 긴잎여로
9 Papaveraceae Corydalis namdoensis B. U. Oh & J. G. Kim 남도현호색
10 Plantaginaceae Veronica daurica Steven 구와꼬리풀
11 Plantaginaceae Veronica pyrethrina Nakai 큰구와꼬리풀
12 Primulaceae Lysimachia davurica Ledeb. 좁쌀풀
13 Ranunculaceae Eranthis stellata Maxim. 너도바람꽃
14 Ranunculaceae Actaea asiatica H .Hara 노루삼
15 Rosaceae Aruncus dioicus (Walter) Fernald 눈개승마
16 Selaginellaceae Selaginella tamariscina (P.Beauv.) Spring 바위손
Table 6.
List of the naturalized plants investigated in Gasan Mt.
No. Family Taxon
1 Asteraceae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a
2 Asteraceae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3 Asteraceae Symphyotrichum pilosum (Willd.) G. L. Nesom 미국쑥부쟁이a
4 Asteraceae Taraxacum officinale aggr. F. H. Wigg. 서양민들레
5 Convolvulaceae Cuscuta pentagona Engelm. 미국실새삼
6 Fabaceae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
7 Onagraceae Oenothera biennis L. 달맞이꽃
8 Plantaginaceae Veronica persica Poir. 큰개불알풀
9 Poaceae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10 Poaceae Festuca arundinacea Schreb. 큰김의털
11 Poaceae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미국개기장
12 Polygonaceae Rumex acetosella L. 애기수영a
13 Polygonaceae Rumex obtusifolius L. 돌소리쟁이
14 Polygonaceae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털여뀌

a Ecosystem Disturbance Wildplants.

Literature Cited

Chilgok-gun, .. 2019. Natural environment of Chilgok-gun. Retrieved Sep. 2, 2019, available from http://www.chilgok.go.kr/07about/01_03.jsp.

Chung, G.Y.. Chang, K.S.. Chung, M.. Choi, H.J.. Paik, K. and Hyun, O..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7: 264-288 (in Korean).
crossref
Compton, J.A.. Culham, A. and Jury, S.L.. 1998. Reclassification of Actaea to include Cimicifuga and Souliea (Ranunculaceae): phylogeny inferred from morphology, nrDNA ITS, and cpDNA trnL-F sequence variation. Taxon 47: 593-634.
crossref
Funk, V.. 2003. The importance of herbaria. Plant Science Bulletin 49: 94-95.

Han, K.. So, S.. Lee, H. and Kim, M.. 2009. Taxonomy of the genus Scrophularia (Scrophulariaceae)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9: 237-246 (in Korean).

Hwang, S.H.. Lee, J.W.. La, E.H. and Ahn, J.K.. 2020. Flora of the vascular plants of the Baekdudaegan conservation area: Deok-chi to Yuk-sim-nyeong.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50: 56-79 (in Korean).
crossref
Im, H.-T.. 1999. Flora of Korea and the role of floristic study.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29: 275-284 (in Korean).
crossref
Jang, H.D.. Kim, T.H. and Oh, B.U.. 2011. A taxonomic review of Scrophularia kakudensis Franch. and its relatives.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1: 345-352 (in Korean).

Jang, S.Y.. 2010. A phylogenetic study of the genus Scrophularia in Korea. MS thesis. Yeongnam University; Gyeongsan, Korea. (in Korean).

Kang, E.S.. Lee, R.. Oh, S.H.. Kim, K.. Jung, Y. and Son, D.C.. 2020. Comprehensive review about alien pla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50: 89-119 (in Korean).
crossref
Kim, H.-W.. Sun, M.. Lee, H.. Lee, J.S.. Park, B.K.. Choi, Y. and Lee, R.. 2020. Floristic study of Hwangmaesan Mt.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50: 199-226 (in Korean).
crossref
Kim, J.-S.. Lee, C.. Chung, M. and Pak, H.. 2005. Flora and phytogeography on Mt. Deokhang (Gangwon-do), limestone area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5: 337-364 (in Korean).
crossref
Kim, K.J. and Eo, J.Y.. 1998. Flora of Palgong Mountain (Daegu, Gunwi) and nearby mountains.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Daegu, Gunwi (10-17) natural environment.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127-189.

Kim, W.H.. Bae, K.H.. Cho, H.J. and Hong, S.C.. 1990. Forest vegetation and flora of Mt. Kasan: phytosociological analysi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79: 42-55 (in Korean).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Geobook Publishing Co, Pocheon. 332 (in Korean).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809 (in Korean).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000 (in Korean).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2020. Retrieved Aug. 11, 2020, available from https://www.e-kjpt.org/.

Lee, H.-W.. Chung, M.G.. Suh, Y. and Park, W.. 2000. Allozyme variation and genetic relationships among species of Cimicifuga (Ranunculaceae) from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Plant Sciences 16: 413-423.

Lee, T.B.. 1980. Illustrations of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990 (in Korean).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624 (in Korean).

Lee, Y.N.. 1969. Swamp plants on Mt. Dae-Am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1: 7-14 (in Korean).

Lee, Y.N.. 1974. New taxa on Korean flora (1).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17: 33-35.

Nakai, T.. 1909. Flora Koreana. Pars prima. Journnal College of Science, Imperial University of Tokyo 26: 1-304.

Nakai, T.. 1938. Notulae ad Plantas Asiae Orientalis (V). Journal of Japanese Botany 14: 631-637.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392 (in Korean).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Floristic Target Species (FT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728 (in Korean).

Park, B.K.. Son, D.C. and Ko, S.C.. 2020.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Gibaeksan Mt. County Park and mountains neighboring the park.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50: 166-198 (in Korean).
crossref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Publishing, Seoul. 575 (in Korean).

Park, S.J.. Son, O. and Lee, E.M.. 2015. The conservation and flora of Mt. Palgong (wetland, naturalized species). Nature Conservation 171: 21-28 (in Korean).

Son, O.. Son, W.. Suh, U. and Park, S.. 2015. Natural hybridization of Iris species in Mt. Palgong-sa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5: 243-253 (in Korean).

Suarez, A.V. and Tsutsui, N.D.. 2004. The value of museum collections for research and society. BioScience 54: 66-74.
crossref
Sun, E.-M.. Son, D.. Park, B.. Kim, N. and Im, T.. 2020. Floristic study of Ibamsan Mt. and Baekamsan Mt.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50: 27-55 (in Korean).
crossre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hase, M. W.. Christenhusz, M. J. M.. Fay, M. F.. Byng, J. W.. Judd, W. S.. Soltis, D. E.. Mabberley, D. J.. Sennikov, A. N.. Soltis, P. S. and Stevens, P. F.. 2016.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81: 1-20.
crossref
The Plant List. 2013. Version 1.1. Retrieved Jan 1, 2020, available from http://www.theplantlist.org/.

The Pteridophyte Phylogeny Group. 2016. A community-derived classification for extant lycophytes and ferns. Journal of Systematics and Evolution 54: 563-603.

Yang, S.. Jang, D.. Nam, B.M.. Chung, G.Y.. Lee, Y.. Lee, H. and Oh, U.. 2015. A florisitic study of Ulleungdo Island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5: 192-212 (in Korean).
crossref
Zhao, Y.. Noltie, H.J. and Mathew, B.. 2000. Iridaceae. Flora of China, Vol. 24. Wu, . Raven, Z. Y., P. H.. Hong, D. Y. (eds.), Science Press, Beijing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MO. 297-313.

APPENDICES

Appendix 1.

List of vascular plants in Gasan Mt. including voucher specimens.
kjpt-50-4-453-app.pdf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Print
Share:      
METRICS
1
Web of Science
1
Crossref
0
Scopus
5,145
View
212
Download
Related article
Editorial Offic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Department of Biology, Daejeon University, Daejeon 34520, Korea
TEL: +82-42-280-2434   E-mail: kjpt1968@gmail.com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