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 Pl. Taxon > Volume 51(2); 2021 > Article
덕세산(인제, 강원) 일대의 관속식물상

적 요

강원도 인제군에 위치한 덕세산 일대의 관속식물상을 2018년 4월부터 2020년 7월까지 총 10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확인된 관속식물은 90과 287속 404종 13아종 35변종 5품종의 총 457분류군이었다. 이 중 한국특산식물은 12종류였고, 희귀식물은 7분류군, 적색목록식물은 3분류군, 그리고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은 103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총 83종류로 Ⅳ등급 8분류군, Ⅲ등급 26분류군, Ⅱ등급 21분류군, 그리고 Ⅰ등급에 28분류군이 포함되어 있었다.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14분류군이었고, 덕세산이 북방한계인 식물은 4분류군, 외래식물은 29분류군, 그리고 생태계교란야생종은 4종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보전이 필요한 주요 종들을 제시하였으며, 덕세산의 식물 다양성 및 분포 변화 연구 등의 자원 보존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The flora of the vascular plants in Deoksesan Mt. and its adjacent areas, located at Inje-gun, Gangwon province, were surveyed for a total ten times from April of 2018 to July of 2020. The result of this survey revealed 457 taxa, consisting of 90 families, 287 genera, 404 species, 13 subspecies, 35 varieties, and 5 forms. Among them, 12 taxa were endemic plants to Korea, and 7 taxa were rare plants. Red list plants and those designated as controlled Korean biological resources, requiring special permission for export outside of the county, numbered 3 and 103 taxa, respectively. The floristic target species amounted to 83 taxa, specifically 8 taxa of grade IV, 26 taxa of grade III, 21 taxa of grade II, and 28 taxa of grade I. In addition, 14 taxa were classified as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and 4 taxa at their respective northern limits, first recorded in this study, were also investigated. Twenty-nine taxa of alien plants and 4 taxa of ecosystem disturbance species were also found in this area. Our results suggest that some species should be preserved and can serve as basic information with which to establish data on the preservation of resources, such as plant diversity and distributional changes on Deoksesan Mt.

덕세산(747 m)이 위치한 강원도 인제군은 영서북부 지방에 포함되며, 지리적으로는 북위 37°49′–38°30′, 동경 127°58′–128°31′에 놓여있다. 인제군의 총 면적은 1,646 km2로 강원도 전체의 10%에 달하며, 동쪽으로는 고성군과 속초시가 위치하고 있고, 서쪽으로는 양구군과 춘천시, 남쪽으로는 홍천군, 그리고 북쪽으로는 비무장지대가 인접해있다. 지난 10년(2009–2018년)간 인제군의 연평균 최고 기온과 최저 기온은 각각 11.2°C와 9.4°C였고, 연평균 강수량은 1,196.2 mm로 주로 여름철(6–8월)에 연강수량의 70% 이상이 집중된다(Inje-gun, 2020). 인제군은 총 면적의 90%이상이 산지로 구성된 산간고냉지 지대로 설악산(1,708 m), 점봉산(1,426 m), 방태산(1,436 m), 대암산(1,313 m) 등 고산을 비롯하여 내린천, 인북천, 미산 계곡 등 우수한 자연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이 지역 자연 생태계도 비교적 잘 보전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nje-gun, 2020).
덕세산은 한반도 식물의 지리적 분포를 바탕으로 구분된 8개 식물구계 중 중부아구에 해당하며(Lee and Yim, 2002), 한반도 기후를 바탕으로 한 5개 산림대 중에는 냉온대남부에 속한다(Yim and Kira, 1975). 행정구역상으로는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에 속하고, 동쪽으로는 매봉산(1,271 m), 서쪽으로는 대암산, 그리고 북쪽으로는 수리봉(760 m)과 맞닿아 있다. 서화면은 인제군 최북단 지역으로 휴전선과 인접하며 북쪽에는 미수복 지구가 위치하고, 행정구역 대부분이 무산(1,320 m), 칠절봉(1,172 m), 가칠봉(1,242 m), 대암산 등 험준한 산지로 둘러싸여 있다.
이 지역에 대한 식물상 연구는 고층습원이 있어 생태계 측면에서의 중요성이 인정되고 있는 대암산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Lee, 1969; Kang, 1970; Park, 1973; Choi and Koh, 1989; Min et al., 2000; Kim et al., 2005; Ryou and Kim, 2006; Choung et al., 2009; 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2009), 이외에도 원대리의 자연습지(Park et al., 2000), 민통선 접경지역(Lee et al., 1998; Park et al., 2001), 심적리의 이탄 습원(Kim et al., 2011), 도솔산 일대(Kim et al., 2014), 그리고 명당산 주변(Song et al., 2019) 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된 바 있으나, 덕세산에 대한 직접적인 식물상 조사는 이루어진 바 없다.
본 연구는 덕세산 일대의 관속식물 자원을 조사하여 이들의 분포와 특징을 밝히고, 그 결과를 식물 다양성 보전과 분포 변화 연구 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게 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현지조사는 2018년 4월부터 2020년 7월까지 총 10회에 걸쳐 수행하였고, 이에 대한 조사 경로와 일정은 Fig. 1Table 1과 같다. 조사는 정확한 동정을 위하여 꽃이나 열매 등 생식기관이 있는 개체를 중심으로 채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건조 후 표본으로 제작하여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식물표본관(KWNU)에 보관하였고, 이를 기초로 식물목록(Appendix 1)을 작성하였다. 식물의 동정은 Lee (1996), Lee (2003), Lee (2006),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a), 그리고 Lee and Lee (2015) 등의 도감을 이용하였으며, 학명 및 분류체계는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n National Arboretum, 2017)을 따랐고, 재배종의 경우는 국명 뒤에 (재) 표시를 넣어 구분하였다. 작성된 식물을 바탕으로 한국특산식물(Chung et al., 2017), 희귀식물(Korean National Arboretum, 2008b), 적색목록식물(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Ministry of Environment, 2019), 그리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Korea National Arboretum (2010)을 참고하였고, 남방한계 및 북방한계 식물의 분포는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외래식물과 생태계교란야생종은 Kang et al. (2020)Infomation of Korean Alien Species (2020)의 문헌을 참고하였으며, 귀화율(Numata, 1975)과 도시화지수(Yim and Jeon, 1980)는 아래와 같은 공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덕세산에 대한 식물상 자료가 전무한 관계로, 인근지역과의 비교를 위해 대암산(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2009), 도솔산(Kim et al., 2014), 그리고 명당산(Song et al., 2019)의 식물상 연구 결과를 참고하였으며, 이 중 식물 목록의 확보가 가능한 대암산(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2009)과 도솔산(Kim et al., 2014) 자료에 대해서는 새롭게 개정된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n National Arboretum, 2017)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 귀화율(the percent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PN) = S/NㆍV×100
(S: 조사된 귀화식물 분류군 수; NㆍV: 조사된 관속식물 총 분류군 수)
– 도시화지수(urbanization index, UI) = S/N*100
(S: 조사된 귀화식물 분류군 수; N: 우리나라의 귀화식물 총 분류군 수)

결과 및 고찰

증거표본에 근거한 덕세산 일대의 관속식물은 90과 287속 404종 13아종 35변종 5품종으로 총 457분류군이었으며(Table 2, Appendix 1), 이는 한반도 관속식물 4,362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17)의 10.5%, 강원도 관속식물 1,796분류군(Gangwon-do, 2010)의 25.4%, 그리고 인제군 관속식물 1,124분류군(Gangwon-do, 2010)의 40.7%에 해당한다. 분류군별로는 양치식물이 29분류군(6.3%), 나자식물이 3분류군(0.7%), 피자식물은 425분류군(93.0%)으로 이 중 쌍자엽식물은 357분류군(78.1%), 단자엽식물은 68분류군(14.9%)으로 나타났다(Table 2). 과별 구성 종에 의한 다양성은 국화과(Compositae)가 52분류군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장미과(Rosaceae) 32분류군, 벼과(Poaceae) 26분류군, 콩과(Fabaceae)와 백합과(Liliaceae)가 각각 19분류군, 그리고 꿀풀과(Lamiaceae)가 18분류군 등의 순이었다. 이 결과는 조사 지역과 인접한 대암산 464분류군(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2009)의 98.5%, 도솔산 506분류군(Kim et al., 2014)의 90.3%, 그리고 명 당산 405분류군(Song et al., 2019)의 112.8%로 대암산과 도솔산 보다는 적고, 명당산 보다는 많은 수이다. 그 이유는 대암산과 도솔산은 천연·습지 보호구역 및 민간인 통제구역 내에 위치해 훼손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명당산은 군사 훈련의 목적으로 입산이 금지되어 조사를 위한 다양한 경로의 접근이 불가능하고, 산림 내 곳곳에 헬기장 또는 참호 등과 같은 군사 시설물로 인한 훼손 면적이 비교적 넓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덕세산은 보호구역과 매우 인접한 동시에 해당 지역 면소재지와 가장 가까운 산림 지역으로 453번 지방도를 통해 접근이 가능하고, 최근 조성된 백두대간트레일 인제 1구간을 지나는 등산객의 출입이 빈번하며, 서화리, 서흥리 및 천도리에서 출입하는 임도로 둘러싸여 있어 민가 및 임도변을 중심으로 한 교란이 진행되고 있어, 앞으로 이 지역에 가해지는 인위적인 영향은 점점 더 증가할 것으로 판단되므로 생물 자원의 지속 가능한 보존을 위해서는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관리 방안을 모색해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대암산(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2009)과 도솔산(Kim et al., 2014) 식물상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조사되었으나, 덕세산에서 조사되지 않은 종류는 대부분 그늘진 습지 또는 고산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종류들로 뱀톱 [Huperzia serrata (Thunb.) Trevis.], 갈퀴현호색(Corydalis grandicalyx B. U. Oh & Y. S. Kim), 고산구슬붕이(Gentiana wootchuliana W. K. Paik), 꽃개회나무[Syringa villosa subsp. wolfii (C. K. Schneid.) Y. Chen & D. Y. Hong], 댕댕이나무(Lonicera caerulea L.) 등 90분류군이 었고, 이는 산림 습지의 부재와 정상부의 고도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비해 본 조사 지역에서만 확인된 종류는 총 126분류군으로 검팽나무(Celtis choseniana Nakai), 끈끈이장구채(Silene koreana Kom.), 은꿩의다리(Thalictrum actaeifolium Siebold & Zucc.), 쥐방울덩굴(Aristolochia contorta Bunge), 기는괭이눈(Chrysosplenium epigealum J. W. Han & S. H. Kang) 등 분류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종류와 댑싸리[Bassia scoparia (L.) A. J. Scott], 말냉이(Thlaspi arvense L.) 둥근잎나팔꽃[Ipomoea purpurea (L.) Roth],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L.), 쥐보리(Lolium multiflorum Lam.) 등 많은 종류의 귀화식물이 포함되어 있었다.
한편, 본 조사 지역의 전체적인 식생은 우리나라에서 상대적으로 북쪽 지역에 형성되는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Blume)림이 우세하였으며(Choung, 1998), 국소적으로는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박달나무(Betula schmidtii Regel),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 (Rehder) Nakai], 피나무(Tilia amurensis Rupr.)군락 등이 자주 출현하였다.

한국특산식물

본 연구에서 확인된 한국특산식물은 진범(Aconitum pseudolaeve Nakai), 할미밀망(Clematis trichotoma Nakai), 노랑갈퀴(Vicia chosenensis Ohwi), 참배암차즈기(Salvia chanryoenica Nakai), 외대잔대(Adenophora racemosa J. K. Lee & S. T. Lee) 등 12분류군으로(Table 3), 우리나라 특산식물 360분류군(Chung et al., 2017)의 3.3%에 해당하였으며, 주변 지역인 대암산(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2009)의 27분류군과 도솔산(Kim et al., 2014)의 22분류군에 비해서는 적었고, 명당산(Song et al., 2019)의 9분류군에 비해서는 많았다. 대암산(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2009)과도솔산(Kim et al., 2014) 연구에서는 분포가 확인된 반면, 본 연구에서 조사되지 않은 종류는 갈퀴현호색, 흰괭이눈(Chrysosplenium barbatum Nakai), 참좁쌀풀(Lysimachia coreana Nakai), 고산구슬붕이, 금강초롱꽃[Hanabusaya asiatica (Nakai) Nakai] 등 7분류군으로 대부분 잘 보전된 환경을 선호하는 종류였다. 한편, 검팽나무, 은꿩의다리, 기는괭이눈 등 3분류군은 대암산(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2009) 및 도솔산(Kim et al., 2014) 지역에서는 조사되지 않은 종류로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확인되었다. 조사된 특산식물 중 키버들(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은 용늪길과 천도양지길 부근의 하천을 따라 이어진 등산로 주변 숲 가장자리에서 조사되었고, 검팽나무는 천도양지길에서 자연생태탐방로로 향하는 산림 사면에서, 진범과 참배암차즈기는 용늪길에서 정상 방향의 산림 내부에 분포하였으며, 할미밀망은 조사지 주변의 임도 사면에 생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은꿩의다리와 노랑갈퀴는 정상 능선부에서 조사되었고, 점현호색(Corydalis maculata B. U. Oh & Y. S. Kim)과 처녀치마(Heloniopsis koreana Fuse)는 뒷골 계곡의 산림 사면에서,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Nakai) L. H. Bailey]는 등산로 가장자리 및 인접한 산림 내에서 관찰되었으며, 외대잔대는 천도양지길에서 정상으로 향하는 산림 내부에 분포하였다. 2012년 설악산에서 최초로 발견되어 신종으로 기재된 기는괭이눈(Han and Kang, 2012)은 동사면을 따라 조성되어 있는 자연생태 탐방로 중 산림 내부의 계곡 주변부를 따라 대규모 군락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인위적 간섭으로 인한 개체 수 감소의 위험은 적을 것으로 생각되나, 계곡의 경사가 심해 장마나 태풍에 의한 수량 증가시 자생지 유실이 우려된다.

희귀식물 및 적색목록식물

덕세산에서 확인된 희귀식물은 총 7분류군으로(Table 4), 이는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전체 희귀식물 571분류군(Korean National Arboretum, 2008b)의 1.2%에 해당하였으며, 대암산(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2009)의 41분류군, 도솔산(Kim et al., 2014)의 23분류군, 그리고 명당산(Song et al., 2019)의 8분류군에 비해 적게 나타났다. 본 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았으나, 대암산(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2009) 및 도솔산(Kim et al., 2014)에서 공통적으로 조사된 종류는 금강제비꽃(Viola diamantiaca Nakai), 참좁쌀풀, 꽃개회나무, 말나리(Lilium distichum Nakai ex Kamib.), 나도제비란[Galearis cyclochila (Franch. & Sav.) Soó] 등 13분류군으로 주로 높은 고도의 정상 능선부 또는 습한 서식지를 선호하는 종류였으며, 본 조사에서 새롭게 분포가 확인된 종류는 검팽나무, 끈끈이장구채, 쥐방울덩굴 등 3분류군이었다. 등급별로는 멸종위기종(critically endangered, CR)은 끈끈이장구채 1분류군으로 일조량이 풍부하고 척박한 임도 가장자리에 10여 개체가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현재 자생지 및 개체에 가해지는 자연적인 위협 요인은 비교적 적은 것으로 판단되나, 자생지 위치 특성상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간벌 및 하예 작업 등과 같은 인위적 요인으로 인한 훼손 위험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약관심종(least concerned, LC)은 검팽나무, 쥐방울덩굴, 도깨비부채(Rodgersia podophylla A. Gray), 참배암차즈기, 금강애기나리[Streptopus ovalis (Ohwi) F. T. Wang & Y. C. Tang], 꽃창포[Iris ensata var. spontanea (Makino) Nakai] 등 6분류군으로, 검팽나무는 자연생태 탐방로 주변의 산림 사면에서 소수의 개체가 확인되었고, 쥐방울덩굴은 뒷골로 향하는 임도 및 길가 주변에서 10여 개체가 조사되었으며, 도깨비부채는 자연생태 탐방로와 만나는 계곡에서 대규모 군락이 관찰되었다. 또한 금강애기나리와 참배암차즈기는 정상에 이르는 산림 내부에서 각각 약 30개체와 20개체가 확인되었고, 꽃창포는 광량이 많은 인북천 주변에 5–10개체 정도로 구성된 소규모 군락이 간헐적으로 분포하였다. 이 중 쥐방울덩굴은 주로 도로 주변에 위치해 각종 정비 작업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고, 꽃창포는 하천 미화 사업 및 장마철 하천 범람으로 인한 자생지 훼손이 우려된다.
한편, 적색목록식물은 총 3분류군이었으며, 등급별로는 관심대상(LC)에 끈끈이장구채와 도깨비부채 2분류군, 미평가(not evaluated, NE)에 검팽나무 1분류군이었다.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은 생물다양성 보전 측면에서 보호 가치가 높아 국외로 반출할 경우 환경부장관의 승인을 얻어야 하는 생물자원을 의미한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9). 본 조사를 통해 확인된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은 노루삼(Actaea asiatica H. Hara), 바위떡풀(Saxifraga fortunei Hook.), 파드득나물(Cryptotaenia japonica Hassk.), 서덜취(Saussurea grandifolia Maxim.), 처녀치마 등 총 103분류군으로(Appendix 1) 이는 국외반출 승인 대상 생물자원 1,117분류군(Ministry of Environment, 2019)의 9.2%에 해당하였으며, 대암산(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2009)의 97분류군보다는 많았고, 도솔산(Kim et al., 2014)의 117분류군에 비해서는 적었다. 본 지역에서는 분포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대암산(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2009) 및 도솔산(Kim et al., 2014)에서 공통적으로 조사된 종류는 주로 고산 및 인위적 영향이 적은 습지대에 분포하는 범꼬리[Bistorta manshuriensis (Petrov ex Kom.) Kom.], 들바람꽃[Anemone amurensis (Korsh.) Kom.], 꿩의 바람꽃(Anemone raddeana Regel), 꽃개회나무, 두루미꽃 [Maianthemum bifolium (L.) F. W. Schmidt] 등 29분류군이었고, 본 조사를 통해 새롭게 분포가 확인된 종류는 부싯깃고사리[Cheilanthes argentea (S. G. Gmel.) Kunze], 금꿩의다리(Thalictrum rochebrunnianum Franch. & Sav.), 민백미꽃[Cynanchum ascyrifolium (Franch. & Sav.) Matsum.], 송장풀(Leonurus macranthus Maxim.), 큰엉겅퀴(Cirsium pendulum Fisch. ex DC.) 등 26분류군이었다. 조사된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중 한국특산식물은 8분류군, 희귀식물은 4분류군, 적색목록식물은 2분류군이었고, 중복되는 종류를 제외한 나머지 93분류군은 법적보호종은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 종류들은 법적 조치와 상관 없이 국내 생물다양성 보전과 이용에 필수적이므로 해당 조사 지역 및 국가의 유용 자산으로 취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나아가 생물자원의 주권 확보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본 연구와 같은 분포 파악 등을 통해 자생지에 대한 증거 자료를 마련하고, 이에 대한 지속적인 보호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자연환경평가를 위한 식물군으로 국내 주요 종의 보존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데 이용되고, 특정 지역 내 이들의 분포 현황은 자연환경의 우수성 정도를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Kim, 2000). 조사된 457분류군 중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총 83분류군으로 전체 특정식물 1,476분류군(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의 5.62%에 해당하였으며, 이는 대암산(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2009) 및 도솔산(Kim et al., 2014)에서 조사된 113분류군과 118분류군에 비해 적었다. 대암산(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2009)과 도솔산(Kim et al., 2014)에 공통적으로 분포하나, 본 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은 종류는 요강나물(Clematis flabellata Nakai), 매발톱나무(Berberis amurensis Rupr.), 나도양지꽃[Waldsteinia ternata (Stephan) Fritsch], 둥근이질풀(Geranium koreanum Kom.), 솔체꽃(Scabiosa comosa Fisch. ex Roem. & Schult.) 등 38분류군이었고, 덕세산에서만 분포가 확인된 종류는 개박달나무(Betula chinensis Maxim.), 산괭이눈[Chrysosplenium japonicum (Maxim.) Makino], 황벽나무(Phellodendron amurense Rupr.), 복자기(Acer triflorum Kom.), 개현삼(Scrophularia alata A. Gray) 등 25분류군이었다. 등급별로는 4개 아구 중 1개 아구에 분포하는 Ⅳ등급에 회리바람꽃(Anemone reflexa Steph. ex Willd.), 바위말발도리 [Deutzia grandiflora var. baroniana (Diels) Rehder], 갈기조팝나무(Spiraea trichocarpa Nakai), 갈매나무(Rhamnus davurica Pall.), 개현삼 등 8분류군, 2개 아구에 분포하는 III등급에 음양고비(Osmunda claytoniana L.), 가는잎쐐기풀(Urtica angustifolia Fisch. ex Hornem.), 노루삼, 물양지꽃(Potentilla cryptotaeniae Maxim.), 산앵도나무[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Nakai) Kitam.] 등 26분류군, 특이한 환경에 생육하거나 비교적 전국적으로 분포하지만 1,000 m 내외의 고산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II등급에 청나래고사리[Matteuccia struthiopteris (L.) Tod.], 애기석위 [Pyrrosia petiolosa (Christ) Ching], 세잎꿩의비름 [Hylotelephium verticillatum (L.) H.Ohba], 미역줄나무(Tripterygium regelii Sprague & Takeda), 노랑제비꽃[Viola orientalis (Maxim.) W.Becker] 등 21분류군, 그리고 3개 아구에 분포하는 I등급에 부싯깃고사리, 투구꽃(Aconitum jaluense Kom.), 노랑물봉선(Impatiens noli-tangere L.), 민백미꽃, 큰엉겅퀴 등 28분류군이었다(Table 5).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

조사 지역의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검종덩굴(Clematis fusca Turcz.), 피나물(Hylomecon vernalis Maxim.), 는쟁이냉이(Cardamine komarovii Nakai), 돌단풍[Mukdenia rossii (Oliv.) Koidz.], 당개지치(Brachybotrys paridiformis Maxim. ex Oliv.) 등 14분류군으로(Table 6) 모두 북방계식물에 해당하였다. 이는 전체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 200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10)의 약 7.0%, 북방계식물 100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2010)의 약 14.0%에 해당하는 것으로, 대암산(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2009) 및 도솔산(Kim et al., 2014)에서 조사된 31분류군과 23분류군에 비해 적었다. 덕세산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대암산(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2009)과 도솔산(Kim et al., 2014)에서 분포가 확인된 부게꽃나무(Acer ukurunduense Trautv. & C.A.Mey.), 금강제비꽃, 붉은참반디(Sanicula rubriflora F. Schmidt ex Maxim.), 구슬댕댕이(Lonicera vesicaria Kom.), 애기앉은부채(Symplocarpus nipponicus Makino) 등 11분류군이었고, 본 조사 지역에서 새롭게 조사된 종류는 끈끈이장구채, 갈기조팝나무, 복자기, 큰엉겅퀴 등 4분류군이었다. 한편, 미래 기후변화에 의한 국내 자생 식물의 종풍부도를 추정한 Shin et al. (2018)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남방계식물은 30% 미만으로 감소하는 것에 비해 북방계식물은 80%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다른 서식지로의 이주가 불가능하고 기후 변화가 지속 될 경우, 북방계식물이 서식하기에 적합한 자생지가 사라져 남방계식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생물다양성 유지를 위해서는 본 조사지와 같이 북방계식물의 분포 비율이 높은 지역을 우선적으로 선발하여 관찰 및 관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남방한계 및 북방한계 식물

조사된 식물을 바탕으로 남방한계 및 북방한계 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16)을 분석한 결과, 덕세산이 국내 분포의 북방한계인 것으로 새롭게 밝혀진 종류는 갈기조팝나무(Fig. 2A), 애기석위(Fig. 2B), 부싯깃고사리(Fig. 2C), 검팽나무(Fig. 2D) 등 4분류군이었고, 남방한계인 종류는 확인되지 않았다. 갈기조팝나무는 남양주, 삼척, 영월, 단양, 제천 등의 일부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덕세산에서는 동사면을 따라 조성된 자연생태탐방로에서 정상으로 향하는 산림 내부에 10여 개체가 자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리나라 전역의 바위 틈이나 절벽에서 비교적 드물게 자라는 상록성 양치식물인 애기석위(Oh et al., 2013)는 기존 문헌을 통해 강화, 삼척, 영월, 평창, 괴산 등에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본 조사 결과, 용늪길에서 덕세산 정상으로 향하는 능선길에 위치한 바위 표면에 40–50개체가 군락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싯깃고사리는 강화, 동해, 고흥, 봉화, 거제 등에 분포하며, 강원도에서는 남부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덕세산에서는 용늪길 산림 사면에 위치한 암벽에서 약 30개체가 자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로 중남부 지방에 생육하고, 강원도에서는 원주의 치악산에서만 분포가 확인된 검팽나무는(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천도양지길 방면에서 하천 주변을 따라 자연생태 탐방로로 향하는 산림 사면에 3–4개체가 생육하였다. 이 중 애기석위와 부싯깃고사리는 주변 식물의 피압 등과 같은 자연적인 위협 요인은 적은 것으로 판단되나, 관상 가치가 높아 실내 원예용 착생 식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아, 자생지가 노출될 경우, 인위적인 채취로 인한 개체수 감소가 우려된다. 또 검팽나무는 자생지 위치 특성 상, 생태탐방로의 정비 활동 및 유지 보수 공사 등이 분포 개체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확인된 북방한계 식물은 학술 및 보전적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물지리학적으로도 중요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외래식물 및 생태계교란야생종

조사 지역에서 확인된 외래식물은 소리쟁이(Rumex crispus L.), 가는털비름(Amaranthus patulus Bertol.),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L.), 지느러미엉겅퀴(Carduus crispus L.), 큰조아재비(Phleum pratense L.) 등 총 29분류군으로(Table 7), 대암산(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2009)의 13분류군, 도솔산(Kim et al., 2014)의 27분류군, 그리고 명당산(Song et al., 2019)의 19분류군에 비해 많았다. 본 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은 반면, 대암산(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2009)과 도솔산(Kim et al., 2014)에서 공통적으로 조사된 종류는 주걱개망초(Erigeron strigosus Muhl. ex Willd.)와 구주개밀[Elymus repens (L.) Gould] 2분류군이었고, 본 조사에서만 분포가 확인된 종류는 일본잎갈나무[Larix kaempferi (Lamb.) Carrière],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 복사나무[Prunus persica (L.) Stokes], 큰금계국(Coreopsis lanceolata L.), 뚱딴지(Helianthus tuberosus L.), 삼잎국화(Rudbeckia laciniata L.) 등 11분류군이었다. 조사된 외래식물 종류수에 의한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각각 6.4%와 4.7%로, 국내 산림 지역의 평균 귀화율인 14.0% (Oh et al., 2009)와 비교했을 때 현저히 값이 낮았으며, 대부분 식생 도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임도 사면, 길 또는 숲 가장자리, 저지대의 등산로 및 민가 주변 등 인위적인 간섭이 빈번한 지역에 집중적으로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인 산림 내부에 미치는 직접적인 위해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조사된 외래식물을 국내 정착 및 확산 여부에 따라 구분한 결과(Kang et al., 2020), 개항(1876년) 이전에 유입된 것으로 추측되는 사전귀화식물(archaeophyte, Arc.)은 2분류군이었으며, 의도적인 도입에 의해 재배되고 있는 종류 중 자연생태계에 확산 가능성이 있거나 분포 여부가 불확실한 잠재침입식물(potentially invasive plant, PIP)은 2분류군, 그리고 의도 또는 비의도적으로 유입되어 야생화된 침입외래식물(invasive alien plant, IAP)은 25분류군이었다. 침입외래식물(IAP) 중 국내 확산 정도에 따라 가장 넓은 분포를 보이는 5등급(widespread, WS)은 11분류군, 4등급(serious spread, SS)은 4분류군, 3등급(concerned spread, CS)은 5분류군, 2등급(minor spread, MS)은 3분류군, 그리고 1등급(potential spread, PS)은 2분류군이었다. 이 중 유일한 목본 식물에 해당하는 5등급의 아까시나무는 1891년 사방수종, 용재, 신탄재, 밀원식물, 가로수용 등의 목적으로 식재되었으나(Wada, 2007), 번식력이 강해 국내에 넓게 확산되었으며, 최근에는 관리 부주의로 식재된 개체가 산림내로 침입하여 국내 생물종을 피압하고, 생장을 억제 및 고사시키는 피해 사례가 보고 되고 있다(Jung et al., 2011). 따라서 자연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침입외래식물(IAP)의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재배되는 외래종이라 할지라도 예방 차원에서 재배지 주변 식생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며, 이미 토착화되었거나 소멸된 것으로 보이는 종류도 특정 지역에서의 환경 적응 유무에 따라 분포역은 계속 변화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현황 파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생태계교란야생종은 우리나라 자생식물인 환삼덩굴[Humulus scandens (Lour.) Merr.]을 포함하여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L.),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Symphyotrichum pilosum (Willd.) G. L. Nesom] 등 총 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이 중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는 산림 저지대의 가장자리에 간헐적인 분포를 보여 조사지 생태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크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나, 이러한 종류는 전국적인 확산이 문제시 되고 있는 만큼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위험성을 파악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환삼덩굴은 주로 광조건이 좋은 저지대 또는 개활지에서 대규모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추후 분포역을 확장함과 동시에 다른 식물을 피복하여 서식 공간을 단순화 시킬것으로 예상되므로 조사 지역의 산림내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한 적극적인 제거 및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CKNOWLEDGMENTS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project “Research on the plants of unexplored areas within the DMZ and develop a monitoring system of intensive management species (KNA1-2-34, 18-5)” funded by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We would like to thank Sang-don Byeon, Jinhyeok Kim and Sang-gyun Hong for their participating in the investigation.

NOTES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re are no conflicts of interest.

Fig 1.
Map of investigation routes of Deoksesan Mt. and its adjacent areas.
kjpt-51-2-147f1.jpg
Fig 2.
Distribution maps of four plants with the northern distribution limit in Deoksesan Mt. and its adjacent areas. A. Spiraea trichocarpa Nakai. B. Pyrrosia petiolosa (Christ) Ching. C. Cheilanthes argentea (S. G. Gmel.) Kunze. D. Celtis choseniana Nakai.
kjpt-51-2-147f2.jpg
Table 1.
The dates and routes of investigations.
No. Date Investigation routes
1 6 Apr 2018 Nonjang-gyo (bridge) → Yongneup-gil → Yongneup pension → Inbuk stream → Cheondoyangji-gil → Yangji-gyo (bridge)
2 7 May 2018 Seoheung 1-ri → Yongneup-gil → Hudong-gyo (bridge) → Summit → Cheondoyangji-gil → Yangji-gyo (bridge)
3 30 Jun 2018 Nonjang-gyo (bridge) → Yangji-gyo (bridge) → Cheondoyangji-gil → Iseuryangji pension → Summit → Hudong-gyo (bridge) → Yongneup-gil → Seoheung 1-ri
4 22 Jul 2018 Seoheung 1-ri → Yongneup-gil → Hudong-gyo (bridge) → Summit → Cheondoyangji-gil → Yongneup-gil
5 10 Aug 2018 Seoheung 1-ri → Yongneup-gil → Yongneup farm → Dwitgol valley
6 30 Sep 2018 Nonjang-gyo (bridge) → Geumgang-ro → Yongneup-gil → Yongneup pension → Inbuk stream → Summit → Cheondoyangji-gil → Yangji-gyo (bridge)
7 21 Apr 2019 Seoheung 1-ri → Yongneup-gil → Hudong-gyo (bridge) → Summit → Iseuryangji pension → Cheondoyangji-gil → Yangji-gyo (bridge)
8 21 Aug 2019 Nonjang-gyo (bridge) → Geumgang-ro → Yongneup-gil → Yongneup pension → Inbuk stream → Summit → Cheondoyangji-gil → Yangji-gyo (bridge)
9 22 May 2020 Seoheung 1-ri → Yongneup-gil → Yongneup farm → Dwitgol valley
10 24 Jul 2020 Seoheung 1-ri → Yongneup-gil → Hudong-gyo (bridge) → Summit → Cheondoyangji-gil → Yongneup-gil
Table 2.
The summary of vascular plants in Deoksesan Mt. and its adjacent areas.
Taxa Family Genus Species Subspecies Variety Forma Total, n (%)
Pteriodophyta 12 19 27 - 2 - 29 (6.3)
Gymnospermae 1 2 3 - - - 3 (0.7)
Angiospermae 77 266 374 13 33 5 425 (93.0)
 Dicotyledonae 68 219 315 12 26 4 357 (78.1)
 Monocotyledonae 9 47 59 1 7 1 68 (14.9)
Total 90 287 404 13 35 5 457 (100)
Table 3.
The list of the endemic plants in Deoksesan Mt. and its adjacent areas.
Family name Scientific name and Korean name
Salicaceae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키버들
Ulmaceae Celtis choseniana Nakai 검팽나무
Ranunculaceae Aconitum pseudolaeve Nakai 진범
Clematis trichotoma Nakai 할미밀망
Thalictrum actaeifolium Siebold & Zucc. 은꿩의다리
Papaveraceae Corydalis maculata B. U. Oh & Y. S. Kim 점현호색
Saxifragaceae Chrysosplenium epigealum J. W. Han & S. H. Kang 기는괭이눈
Fabaceae Vicia chosenensis Ohwi 노랑갈퀴
Lamiaceae Salvia chanryoenica Nakai 참배암차즈기
Caprifoliaceae Weigela subsessilis (Nakai) L. H. Bailey 병꽃나무
Campanulaceae Adenophora racemosa J. K. Lee & S. T. Lee 외대잔대
Liliaceae Heloniopsis koreana Fuse 처녀치마
Table 4.
The list of the rare and red list plants in Deoksesan Mt. and its adjacent areas.
Family name Scientific name and Korean name KNAa NIBRb
Caryophyllaceae Silene koreana Kom. 끈끈이장구채 CR LC
Ulmaceae Celtis choseniana Nakai 검팽나무 LC NE
Aristolochiaceae Aristolochia contorta Bunge 쥐방울덩굴 LC -
Saxifragaceae Rodgersia podophylla A.Gray 도깨비부채 LC LC
Lamiaceae Salvia chanryoenica Nakai 참배암차즈기 LC -
Liliaceae Streptopus ovalis (Ohwi) F. T. Wang & Y. C. Tang 금강애기나리 LC -
Iridaceae Iris ensata var. spontanea (Makino) Nakai 꽃창포 LC -

CR, critically endangered; LC, least concerned; NE, not evaluated.

a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n National Arboretum, 2008b).

b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Table 5.
The list of floristic target species in Deoksesan Mt. and its adjacent areas.
Grad e Scientific name and Korean name
IV Anemone reflexa Steph. ex Willd. 회리바람꽃
Rodgersia podophylla A. Gray 도깨비부채
Deutzia grandiflora var. baroniana (Diels) Rehder 바위말말도리
Spiraea trichocarpa Nakai 갈기조팝나무
Rhamnus davurica Pall. 갈매나무
Schizopepon bryoniifolius Maxim. 산외
Salvia chanryoenica Nakai 참배암차즈기
Scrophularia alata A. Gray 개현삼
III Osmunda claytoniana L. 음양고비
Betula chinensis Maxim. 개박달나무
Betula davurica Pall. 물박달나무
Betula schmidtii Regel 박달나무
Urtica angustifolia Fisch. ex Hornem. 가는잎쐐기풀
Silene koreana Kom. 끈끈이장구채
Actaea asiatica H. Hara 노루삼
Clematis fusca Turcz. 검종덩굴
Clematis heracleifolia DC. 병조희풀
Thalictrum rochebrunnianum Franch. & Sav. 금꿩의다리
Corydalis maculata B. U. Oh & Y. S. Kim 점현호색
Cardamine komarovii Nakai 는쟁이냉이
Philadelphus schrenkii Rupr. 고광나무
Potentilla cryptotaeniae Maxim. 물양지꽃
Prunus sargentii Rehder 산벚나무
Sorbaria sorbifolia (L.) A. Braun 쉬땅나무
Spiraea chamaedryfolia L. 인가목조팝나무
Spiraea fritschiana C. K. Schneid. 참조팝나무
Vicia chosenensis Ohwi 노랑갈퀴
Acer mandshuricum Maxim. 복장나무
Acer triflorum Kom. 복자기
Vitis coignetiae Pulliat ex Planch. 머루
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Nakai) Kitam. 산앵도나무
Lysimachia vulgaris var. davurica (Ledeb.) R. Knuth 좁쌀풀
Syringa reticulata (Blume) H. Hara 개회나무
Brachybotrys paridiformis Maxim. ex Oliv. 당개지치
II Matteuccia struthiopteris (L.) Tod. 청나래고사리
Polystichum braunii (Spenn.) Fee 좀나도히 초미
Pyrrosia petiolosa (Christ) Ching 애기석위
Pinus koraiensis Siebold & Zucc. 잣나무(재)
Lychnis cognata Maxim. 동자꽃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오미자
Caulophyllum robustum Maxim. 꿩의다리아재비
Hylomecon vernalis Maxim. 피나물
Hylotelephium verticillatum (L.) H. Ohba 세잎꿩의비름
Mukdenia rossii (Oliv.) Koidz. 돌단풍
Sorbus commixta Hedl. 마가목(재)
Phellodendron amurense Rupr. 황벽나무
Euonymus pauciflorus Maxim. 회목나무
Tripterygium regelii Sprague & Takeda 미역줄나무
Tilia amurensis Rupr. 피나무
Tilia mandshurica Rupr. & Maxim. 찰피나무
Viola orientalis (Maxim.) W. Becker 노랑제비꽃
Viola tokubuchiana var. takedana (Makino) F. Maek. 민둥뫼제비꽃
Circaea lutetiana subsp. quadrisulcata (Maxim.) Asch. & Magnus 말털이슬
Weigela florida (Bunge) A. DC. 붉은병꽃나무
Carex onoei Franch. & Sav. 바늘사초
I Cheilanthes argentea (S. G. Gmel.) Kunze 부싯깃고사리
Onoclea interrupta (Maxim.) Ching & P. C. Chiu 야산고비
Juglans mandshurica Maxim. 가래나무
Celtis choseniana Nakai 검팽나무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Rehder) Nakai 느릅나무
Achudemia japonica Maxim. 산물통이
Aconitum jaluense Kom. 투구꽃
Hepatica asiatica Nakai 노루귀
Chloranthus japonicus Siebold 홀아비꽃대
Aristolochia contorta Bunge 쥐방울덩굴
Chrysosplenium japonicum (Maxim.) Makino 산괭이눈
Deutzia glabrata Kom. 물참대
Deutzia uniflora Shirai 매화말발도리
Filipendula glaberrima (Nakai) Nakai 터리풀
Malus baccata (L.) Borkh. 야광나무
Pyrus ussuriensis Maxim. ex Rupr. 산돌배
Spiraea pubescens Turcz. 아구장나무
Impatiens noli-tangere L. 노랑물봉선
Circaea cordata Royle 쇠털이슬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Rupr. & Maxim.) S. Y. Hu 오갈피나무
Syringa pubescens subsp. patula (Palib.) M. C. Chang & X.L.Chen 털개회나무
Cynanchum ascyrifolium (Franch. & Sav.) Matsum. 민백미꽃
Lonicera maackii (Rupr.) Maxim. 괴불나무
Viburnum opulus var. calvescens (Rehder) H. Hara 백당나무
Adoxa moschatellina L. 연복초
Campanula punctata Lam. 초롱꽃
Cirsium pendulum Fisch. ex DC. 큰엉겅퀴
Carex dispalata Boott 삿갓사초
Table 6.
The list of plant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Deoksesan Mt. and its adjacent areas.
Family name Scientific name and Korean name Source
Osmundaceae Osmunda claytoniana L. 음양고비 Northern plant
Caryophyllaceae Silene koreana Kom. 끈끈이장구채 Northern plant
Ranunculaceae Anemone reflexa Steph. ex Willd. 회리바람꽃 Northern plant
Clematis fusca Turcz. 검종덩굴 Northern plant
Papaveraceae Hylomecon vernalis Maxim. 피나물 Northern plant
Brassicaceae Cardamine komarovii Nakai 는쟁이냉이 Northern plant
Saxifragaceae Mukdenia rossii (Oliv.) Koidz. 돌단풍 Northern plant
Rodgersia podophylla A. Gray 도깨비부채 Northern plant
Rosaceae Malus baccata (L.) Borkh. 야광나무 Northern plant
Spiraea trichocarpa Nakai 갈기조팝나무 Northern plant
Aceraceae Acer mandshuricum Maxim. 복장나무 Northern plant
Acer triflorum Kom. 복자기 Northern plant
Boraginaceae Brachybotrys paridiformis Maxim. ex Oliv. 당개지치 Northern plant
Asteraceae Cirsium pendulum Fisch. ex DC. 큰엉겅퀴 Northern plant
Table 7.
The list of alien plants in Deoksesan Mt. and its adjacent areas.
Scientific name and Korean name Type of alien plant Degree
Larix kaempferi (Lamb.) Carriere 일본잎 갈나무(재) PIP -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IAP WS
Bassia scoparia (L.) A.J.Scott 댑싸리(재) IAP PS
Chenopodium ficifolium Sm. 좀명아주 IAP WS
Amaranthus patulus Bertol. 가는털비름 IAP CS
Lepidium apetalum Willd. 다닥냉이 PIP -
Thlaspi arvense L. 말냉이 Arc. -
Prunus persica (L.) Stokes 복사나무(재) Arc. -
Robinia pseudoacacia L. 아까시나무(재) IAP WS
Trifolium repens L. 토끼풀 IAP WS
Euphorbia supina Raf. 애기땅빈대 IAP SS
Oenothera biennis L. 달맞이꽃 IAP WS
Ipomoea purpurea (L.) Roth 둥근잎나팔꽃 IAP CS
Solanum americanum Mill. 미국까마중 IAP MS
Ambrosia artemisiifolia L. 돼지풀 IAP WS
Ambrosia trifida L. 단풍잎돼지풀 IAP MS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IAP WS
Carduus crispus L. 지느러미엉겅퀴 IAP SS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IAP WS
Coreopsis lanceolata L. 큰금계국(재) IAP CS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IAP WS
Galinsoga ciliata (Raf.) S.F.Blake 털별꽃아재비 IAP WS
Helianthus tuberosus L. 뚱딴지(재) IAP MS
Rudbeckia laciniata L. 삼잎국화(재) IAP PS
Symphyotrichum pilosum (Willd.) G. L. Nesom 미국쑥부쟁이 IAP SS
Taraxacum officinale F. H. Wigg. 서양민들레 IAP WS
Lolium multiflorum Lam. 쥐보리 IAP CS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미국개기장 IAP SS
Phleum pratense L. 큰조아재비 IAP CS

PIP, potentially invasive plant; IAP, invasive alien plant; WS, widespread; PS, potential spread; CS, concerned spread; Arc., archaeophyte; SS, serious spread; MS, minor spread.

Literature Cited

Choi, K.-R. and Koh, J.-K.. 1989. Studies on moor vegetation of Mt. Dae-am, east-central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12: 237-244 (in Korean).

Choung, Y.S.. 1998. Vegetation in the paekdoo great mountain chain. Journal of Environmenta Research 15: 464-470 (in Korean).

Choung, Y.S.. Lee, W.T.. Joo, K.Y.. Lee, J.S.. Seo, H.S.. Lee, K.E. and Seo, A.N.. 2009. Review on the herbaceous flora of Keunyongneup in Mt. Dae-am, Korea. Journal of Basic Science Research Institute 20: 205-227 (in Korean).

Chung, G.Y.. Chang, K.S.. Chung, J.-M.. Choi, H.J.. Paik, W.-K. and Hyun, J.-O..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7: 264-288 (in Korean).
crossref
Gangwon-do. 2010. Inhabitation and Distribution of Wild Animal and Plant in Gangwon-do. Gangwon-do. 215 (in Korean).

Han, J.-W. and Kang, S.-H.. 2012. Chrysosplenium epigealum J. W. Han et S. H. Kang: A new species of Chrysosplenium (Saxifragaceae) from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5: 346-348.
crossref
Infomation of Korean Alien Species. 2020. Retrieved Dec. 2, 2020, available from http://kias.nie.re.kr.

Inje-gun. 2020. Retrieved Sep. 10, 2020, available from http://www.inje.go.kr.

Jung, S., K.. Koo, and Kim, K.-H.. 2011. Inhibitory factors of Robinia pseudoacacia distribution in a Pinus thunbergii forest at the coas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 717-724 (in Korean).

Kang, E.S.. Lee, S.-R.. Oh, S.H.. Kim, D.-K.. Jung, S.-Y. and Son, D.C.. 2020. Comprehensive review about alien pla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50: 89-119 (in Korean).
crossref
Kang, S.J.. 1970. Ecological studies of the raised bog in the Dae-am mountain adjacent to DMZ in Korea (II): Relation between vegetation and peat. Journal of Plant Biology 13: 20-24 (in Korean).

Kim, B.W.. Lee, J.S. and Oh, Y.J.. 2005. A study on the flora in the Mt. Dae-am high moor.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11: 1-8 (in Korean).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I. Selection of plant tax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18: 163-198 (in Korean).

Kim, K.-A.. Han, J.-S.. Cheon, K.-S.. Park, Y.-H.. Kang, J.-S. and Yoo, K.-O.. 2014. Floristic study of Mt. Dosol and its adjacent areas (Yanggu-gun, Gangwon-do).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4: 59-76 (in Korean).
crossref
Kim, N.J.. Kim, N.Y.. Kim, Y.S.. Lee, H.B.. Kim, Y.S. and Park, W.K.. 2011. Flora Study of Simjeok Swamp in Sohwa-myon, Inje-gun. Korean Forest Society, Seoul. 374-376 (in Korean).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a. Illustrated Pteridophyt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547 (in Korean).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b.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547 (in Korean).

Korea National Arboretum.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492 (in Korean).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809 (in Korean).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Checklist of Vascular Plant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000 (in Korean).

Lee, C.S. and Lee, K.H.. 2015. Pteridophytes of Korea: Lycophytes & Ferns. Geobook, Seoul. 471 (in Korean).

Lee, H.J.. Bae, B.H.. Chun, Y.M.. Chung, H.L.. Hong, M.P.. Kim, Y.O. and Kil, J.H.. 1998. Community structure and soil environment of Quercus mongolica forest on Mt. Chiljelbong. Journal of Basic Science 23: 83-95 (in Korean).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yangmunsa, Seoul. Vol. I, 914 pp, Vol. II, 910 pp. (in Korean).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624 (in Korean).

Lee, W.T. and Yim, Y.J.. 2002. Plant Geography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412 (in Korean).

Lee, Y.N.. 1969. Swamp plants on Mt. Dae-Am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1: 7-14 (in Korean).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Kyohak Publishing Co., Seoul. Vol. I. 1975 pp, Vol. II, 2885 pp. (in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2019. Retrieved Dec. 7, 2020, available from http://www.me.go.kr.

Min, W.K.. Chang, C.S.. Jeon, J.I.. Kim, H.. Choi, D.Y. and Jung, S.S.. 2000. Flora of Mt. Dae-am san. Bulleti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rboretum 20: 38-82 (in Korean).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391 (in Korean).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Floristic Target Species (FT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728 (in Korean).

Numata, M.. 1975. Naturalized Plants. Dai Nippon Printing Co, Tokyo. 160 (in Japanese).

Oh, C.-H.. Kim, Y.-H.. Lee, H.-Y. and Ban, S.-H.. 2009. The naturalization index of plant around abandoned military camps in civilian control zone.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 Research Technology 12: 59-76 (in Korean).

Oh, H.K.. Rho, J.H. and Choi, Y.H.. 2013. A study on the vegetation landscape and management methods of Buyongdae on Hahoe village, Ando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 13-27 (in Korean).

Park, B.K.. 1973. On the vegetation of high-moor on Mt. Dae-am, Kangwon-do, Korea. Journal of Korean Research Institute Better Living 11: 25-32 (in Korean).

Park, K.-S.. Ahn, C.-H. and Park, W.-G.. 2001. A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civilian control line area (Hyangro-Bong, Chiljeol-Bong, Mt. Mae-Bong in Inje-gun, Kangwon-do). Journal of Korea Forestry Energy 20: 81-116 (in Korean).

Park, W.-G.. Yoo, S.-I. and Park, K.-S.. 2000. Flora of natural mashes in Wondae-ri (Inje-gun, Kangwon-do). Journal of Forest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16: 50-68 (in Korean).

Ryou, S.H. and Kim, S.D.. 2006. The flora of Young-neup and vegetation distribution of high moor in Mt. Dae-am.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Conferenc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Seoul. 133-135 (in Korean).

Shin, M.-S.. Seo, C.. Lee, M.. Kim, J.-Y.. Jeon, J.-Y.. Adhikari, P. and Hong, S.-B.. 2018. Prediction of potential species richness of plants adaptable of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7: 562-581 (in Korean).

Song, J.H.. Kim, S.J.. An, J.B.. Hwang, H.S.. Lee, A.Y.. Bak, G.P.. Park, J.S.. Jung, S.Y.. Jung, J.Y. and Kim, H.C.. 2019. The flora of Mt. Myeongdang (Gangwon-do, Inje-gun) area adjacent to the DMZ. In 2019 Conference & Symposium of th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Pocheon. 73 (in Korean).

Wada, Y.. 2007. Beekeeping and black locust. Japan Forest Technology 781: 22-25.

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iministration. 2009. Yongneup in Mt. Dae-am. 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iministration, Wonju. 285 pp.

Yim, Y.J. and Jeon, E.S..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Botany 23: 69-83 (in Korean).

Yim, Y.-J. and Kira, T..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anese Journal of Ecology 25: 77-88.

APPENDICES

Appendix 1.

The list of vascular plants investigated in the Deoksesan Mt. and its adjacent areas.
kjpt-51-2-147-app.pdf
Editorial Offic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Department of Biology, Daejeon University, Daejeon 34520, Korea
TEL: +82-42-280-2434   E-mail: kjpt1968@gmail.com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