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 요경상남도 거창군과 함양군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는 기백산군립공원과 인접산지의 관속식물상을 2011년 4월부터 9월까지, 2012년 7월, 2015년 4월부터 2018년 8월까지 총 46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본 조사 지역의 관속식물은 107과 346속 583종 14아종 46변종 6품종의 총 649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25분류군의 한국특산식물과 18분류군의 희귀식물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식재종을 포함하여 V등급에 5분류군, IV등급에 5분류군, III등급에 29분류군, II등급에 30분류군, I등급에 38분류군이 각각 발견되었으며, 외래식물은 4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조사된 전체 식물 중 500분류군이 자원식물이었으며, 이를 용도별로 구분하면 식용식물 257분류군, 약용식물 206분류군, 목초용식물 220분류군, 관상용식물 84분류군 등이었다. 조사지의 식물상은 한반도 식물구계의 남부아구에 속한다.
Abstract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the Gibaeksan Mt. County Park and its neighboring mountains, located at the boundary between Geochang-gun and Hamyang-gun in Gyeongsangnam-do province in Korea, were surveyed for a total 46 times from April to September of 2011, in July of 2012, and from April of 2015 to August of 2018. The result of this survey revealed 659 taxa composed of 107 families, 346 genera, 583 species, 14 subspecies, 46 varieties and 6 forms. Among them, 25 taxa were endemic plants to Korea, and 18 taxa were rare and endangered plants of Korea.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including cultivated plants were 5 taxa of grade V, 5 taxa of grade IV, 29 taxa of grade III, 30 taxa of grade II and 38 taxa of grade I. Forty-three taxa of alien plants were found in this area. In addition, 500 taxa out of a total of 649 taxa were categorized by usage into eight groups, including among others an edible group containing 257 taxa, a medicinal group containing 206, a pasturing group containing 220, and an ornamental group containing 84, with some taxa belonging to more than one group. The flora of this surveyed area belongs to the southern province among the floral provinces of the Korean Peninsula.
기백산군립공원은 지리적으로 소백산맥에 속하는 남덕유산(1,507.4 m)에서 남동쪽으로 뻗어나간 지맥의 8.5 km 지점에 위치한다. 본 조사 범위에는 기백산 군립공원과 인근지역의 산지로서 금원산(1,352.5 m), 기백산(1,350.8 m), 황석산(1,190 m)과 거망산(1,184 m)이 포함되었다. 행정구역상으로 금원산(1,352.5 m)은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과 위천면 및 함양군 안의면의 경계에, 기백산(1,350.8 m)은 위천면과 안의면의 경계에, 황석산(1,190 m)과 거망산(1,184 m)은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서상면과 서하면의 경계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본 조사지는 동쪽으로는 금원산, 기백산으로, 서쪽으로는 은신치, 거망산, 황석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각각 있으며, 이들 능선은 금원산과 거망산의 사이에 있는 수망령에 의해 이어져 있다.
본 산지의 수계는 서쪽으로는 남강, 북동쪽으로는 월성계곡, 북쪽으로는 창선천, 동쪽으로는 한수동계곡과 유안청계곡, 거망산과 금원산 사이의 수망령에서 시작하는 용추계곡이 흐르고 있다. 용추계곡은 함양군 안의면에서 지우천으로 유입되어 남강으로 합류되며, 월성계곡, 창선천, 유안청계곡과 한수동계곡은 위천천으로 유입되어 황강의 상류를 이루고, 합천호로 흘러든다.
토양은 여름과 겨울에 기온과 강우량의 교차가 큰 낙엽 활엽수림대에서 형성되는 갈색산림토로서 표층이 두텁고 용탈이 적어서, 전반적으로 표층은 갈색을 띄고, 하위층은 황갈색산림토이다. 암석은 주로 화강편마암과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강편마암은 차별침식으로 산릉을 이루고 있다(Kang, 1971).
본 조사지가 속한 거창군과 함양군의 기후는 연교차와 일교차가 크고, 여름철에는 덥고 강우의 60–70%가 편중되며, 겨울철에는 추운 전형적인 내륙성 기후를 보이기는 하나, 해발 1,000 m 이상의 높은 산들이 곳곳에 위치하고 있어 겨울철의 북서풍과 여름철의 계절풍인 남동풍을 막아주어 바람으로 인한 영향은 없는 편이다. 한편 최근 5년간 기상자료에 의하면 거창군의 연평균기온은 12.3°C, 연평균 강수량은 1,074.4 mm이며, 함양군의 연평균기온은 13.0°C, 연평균 강수량은 1,087.5 mm이다(Geochang-gun, 2018; Hamyang-gun, 2018). 최한월은 1월이며, 최난월은 8월이고, 연교차는 거창군이 26.7°C, 함양군이 26.4°C이다.
본 조사지역은 한반도 식물의 지리적 분포를 바탕으로 구분된 8개의 식물구계 중 남부아구에 해당되며(Lee and Yim, 1978, 2002), 한반도 기후를 바탕으로 한 5개 산림대 중 온대남부대에 속한다(Yim and Kira, 1975).
본 산지의 식물상에 관한 선행연구로는 금원산에 대하여 Kwon et al. (1997)은 금원산 자연휴양림의 목본식물상을 조사하여 49과 87속 147분류군을, Seok et al. (2003)은 108과 357속 534종 80변종 6품종 620분류군을, Park et al. (2007)은 금원산 자연휴양림 산림식생의 종조성을 조사하면서 교목 27종 아교목 44종 관목 71종 초본 69종의 총 152분류군을, Oh et al. (2008)은 금원산 생태수목원 조성부지의 관속식물상 연구에서 84과 217속 319종 43변종 7품종 369분류군을 각각 보고하였다. 그리고 Lee and Oh (1986)가 함양 백운산 일대 종합보고에서 황석산과 기백산을 포함하여 96과 297속 499분류군을, Lee (1986)는 78과 194속 335분류군을, Kim (2011)은 기백산에서 108과 383속 587종 114변종 21품종 722분류군을 각각 조사·보고한 바 있으며,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와 Oh et al. (2015)에 의해 97과 295속 394종 4아종 80변종 17품종 495분류군이, Shin (2015)에 의해 61과 132속 167종 2아종 22변종 4품종 195분류군이, 거망산은 Jeong (2017)에 의해 76과 188속 246종 4아종 31변종 6품종의 총 287분류군이 각각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연구들의 소산식물목록 중 큰천남성, 히어리, 도깨비부채, 자주종덩굴, 검종덩굴 등 본 조사지역에 분포가 의심되는 식물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고, 이들에 대한 증거 표본의 언급이 없기 때문에 현재 식물상과의 비교 연구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기백산군립공원 일대의 금원산, 기백산, 거망산, 황석산에 대한 현지조사를 통해 수집한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여 선행연구들과 그 결과를 비교 검토하고, 본 지역의 식물지리학적 특징과 주요 식물을 파악하여, 기백산군립공원의 주요 산림식물자원에 대한 분포와 이들의 보존 및 관리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조사경로 및 일정조사 범위와 경로는 기백산군립공원을 중심으로 북쪽으로는 금원산 북사면, 동쪽으로는 기백산 동사면, 남쪽으로는 황석산 남사면, 서쪽으로는 거망산 서사면 일대를 경계로 하여 식물상이 비교적 다양하다고 생각되는 지역을 선정하였고, 현지조사는 계곡, 등산로, 임도를 따라 사면별, 고도별로 이루어졌다(Fig. 1).
조사 기간은 2011년 4월에서 9월까지, 2012년 7월, 2015년 4월부터 2018년 8월까지 총 46회에 걸쳐 행해졌으며, 자세한 일정별 경로는 Table 1과 같다.
표본수집 및 동정조사지의 관속식물에 대한 분포증거를 확보하기 위하여 조사지역 내에 관찰되는 식물 중 꽃, 열매 또는 포자 등의 생식기관이 있는 개체만을 대상으로 채집을 수행하였으며, 채집된 모든 식물은 채집번호를 각각 부여하였고, 일차종발생정보의 확보를 위한 GPS정보를 기록하였다. 채집품은 압착·건조 후 표본으로 제작하여 한남대학교 자연사박물관(HNHM), 국립수목원(KH), 국립생물자원관(KB), 한국한의학연구원(KIOM)에 각각 보관하였다.
식물의 동정은 Lee (1980, 2003), Lee (1996, 2006) 등의 도감류와 Park (2007)의 식물지 등을 이용하였으며, 확증표본을 바탕으로 확인된 분류군만을 목록에 포함시켰다.
식물목록작성관속식물의 목록 작성은 Engler의 분류체계(Melchior, 1964)에 따라 작성되었고, 과 내에서는 알파벳순으로 속명과 종소명을 정리하였다. 학명의 사용은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와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에 따랐다. 작성된 식물목록(Appendix 1)을 기초로 한국특산식물은 Chung et al. (2017)에 의하였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Floristic Target Species (FT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에 따라 파악하였다. 희귀식물은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를, 외래식물은 Checklist of Alien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2019)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으며, 재배 또는 식재종은 목록에 따로 표기하였다. 또한 식물의 유용도 분석은 Lee (1976)에 준하였고, 식물목록(Appendix 1)에 표기하였다.
결과 및 고찰관속식물상본 조사지역에서 밝혀진 관속식물상은 금원산 81과 197속 294종 10아종 18변종 3품종의 325분류군, 기백산 93과 226속 301종 12아종 28변종 4품종의 345분류군, 황석산 95과 273속 387종 11아종 30변종 6품종의 434분류군, 거망산 74과 148속 187종 3아종 15변종 3품종의 208분류군이며, 전체적으로는 도합 107과 346속 583종 14아종 46변종 6품종으로 총 649분류군이다(Table 2, Appendix 1). 이는 양치식물 12과 17속 29종 1변종의 30분류군(4.6%), 나자식물 3과 8속 8종의 8분류군(1.2%), 피자식물의 쌍자엽식물 81과 259속 440종 14아종 37변종 4품종의 495분류군(76.3%), 단자엽식물 11과 62속 106종 8변종 2품종의 116분류군(17.9%)으로 구성되며(Table 3), 한반도 전체 관속식물 4,881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의 13.3%, 경상남도 전체 관속식물 953분류군(Oh et al., 2010)의 68.1%에 해당된다.
식물상 종조성의 주요 10개과는 국화과가 66분류군(10.2%)으로 가장 많았고, 장미과 38분류군(5.9%), 벼과 36분류군(5.6%), 백합과 33분류군(5.1%), 콩과 30분류군(4.6%), 꿀풀과 24분류군(3.7%), 미나리아재비과 22분류군(3.4%), 사초과 22분류군(3.4%) 순이었으며, 마디풀과와 산형과가 18분류군(2.8%)으로 가장 적었다. 전체 종조성에 대한 이들 상위 10개과가 차지하는 비율은 47.3%로서 약 1/2에 해당된다(Table 4).
본 조사지역의 전체적인 식생은 온대림의 대표수종인 졸참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등이 우세하나, 개비자나무, 노각나무, 사람주나무, 대팻집나무 등이 자주 출현하는 온대 남부의 식생을 보인다.
식물상 우수지역으로서 금원산은 희귀식물인 덩굴꽃마리와 뻐꾹나리,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IV등급에 해당되는 가는잎개고사리와 가지괭이눈, III등급종인 너도바람꽃, 노각나무 등이 생육하고 있는 유안청계곡 인근의 동사면 지역, 기백산은 특산식물인 물들메나무와 금마타리,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III등급인 긴병꽃풀, 인가목조팝나무, 시닥나무 등이 확인된 수망령에서 용추계곡까지의 지역, 거망산은 너도바람꽃, 나도개감채, 꿩의다리아재비 등이 자생하며, 해발 800 m 이상부터 개비자나무 군락이 출현하는 은신골 지역, 황석산은 돌양지꽃, 천마 등이 분포하며, 깊은 계곡이 있어 식물상이 비교적 다양하게 나타나는 황석산성 일원이 본 조사지역의 산지들에서 식물상이 우수한 지역에 해당된다.
선행연구와 비교선행연구와 비교함에 있어 기백산은 Lee (1986)와 Kim (2011), 금원산은 Kwon et al. (1997), Seok et al. (2003), Park et al. (2007), Oh et al. (2008)의 조사연구가 있다. 또한 Lee and Oh (1986)는 기백산과 아울러 백운산과 황석산을 조사한 바 있으나 식물목록은 산지 구별 없이 관찰된 전체 목록만을 제시하고 있어 단순 비교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상기 언급한 선행연구들은 모두 증거표본에 대한 언급이 없을 뿐만 아니라, 특정 또는 특산식물 등 주요 종으로 언급된 분류군 중 식물지리학적으로 본 지역의 분포가 의심되는 분류군이 목록에 다수 제시되어 있어 신뢰하기 어렵다. 예로서 특산식물인 히어리에 대하여 Kwon et al. (1997)과 Seok et al. (2003)은 금원산에 분포한다고 언급하였다. 그러나 Oh et al. (2016)에 따르면 경남지역에서 히어리는 남해, 하동, 산청지역에서만 그 생육이 확인된 바 있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이자 특산식물인 도깨비부채,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이자 특산식물인 자주솜대가 Park et al. (2007)에 의해 금원산 분포가 언급되었지만 도깨비부채는 경기도와 강원도(Kim, 2007b)에, 자주솜대는 설악산, 소백산, 덕유산, 지리산 등의 백두대간 고봉(Oh, 2007)에 생육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큰천남성은 Seok et al. (2003)과 Oh et al. (2008)에 의해 금원산 분포가 보고된 바 있으나, 본 종은 한반도 남부에 분포하는 난대성 식물로서 오동정 가능성이 높다. 다만 Seok et al. (2003)에 의해 보고된 금원산 620분류군, Kim (2011)에 의한 기백산 722분류군과 본 조사에서 금원산과 기백산에서 확인된 이들 식물 493분류군과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상기 보고들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증거표본에 대한 정보가 제시되어 있지 않아 그 실체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분류군 수에 대한 비교는 무의미 하다. 다만 본 조사가 생식기관이 있는 개체만을 대상으로 채집된 확증표본을 바탕으로 목록이 작성되었고, 조사지역에 생육하고 있을지라도 조사당시 생식기관이 없는 개체는 채집대상에서 제외되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추후 조사경로와 시기를 달리하여 보완 조사를 수행한다면 본 산지의 산세로 보아 분류군 수는 다소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기존연구와 비교시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확인된 분류군은 긴꽃고사리삼, 노랑팽나무, 세뿔투구꽃, 애기고추나물, 금오족도리풀 등 111분류군이며, 이들은 소산식물목록의 일련번호 앞에 ★로 표시하였다(Appendix 1).
한국특산식물본 조사지에서 생육이 확인된 한국특산식물은 진범, 외대으아리, 할미밀망 등 25분류군이며, 이들 중 구상나무, 미선나무, 닥나무, 노랑붓꽃의 4분류군은 금원산자연휴양림에 식재된 것이다(Table 5). 상기 식재된 4분류군을 제외하면 본 지역에 자생하는 특산식물은 전체 한국특산식물의 약 3.23%에 해당된다.
한편 확인된 특산식물 중 노랑팽나무는 중부지방의 길가, 숲, 계곡과 사면에 생육하는 수종으로 알려져 있으며(Kim, 2007a), 본 조사에서는 황석산성 주변에서 개박달나무, 신갈나무, 산오리나무, 팥배나무, 대팻집나무와 혼생하고 있었고, 물들메나무는 수망령과 금원산 용추계곡 주변을 비롯하여 거망산의 동사면 계곡부에서도 생육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란초는 거망산의 은신치에서 신갈나무, 산뽕나무, 당단풍나무, 멸가치, 조릿대 등과 함께 우점하고 있었으며, 노각나무는 금원산, 황석산, 거망산의 산지 계곡주변 또는 그늘진 습한 곳에서 비교적 흔히 관찰되었고, 진범은 기백산의 정상부 능선과 동북사면의 등산로에서 다수의 개체가 확인되었다. 조사지역 내 확인된 특산 식물 자생지는 대체적으로 양호하나, 등산로 또는 임도 주변에서 확인된 특산식물은 답압, 불법채취 등에 의한 피해가 우려되며, 금원산 동사면 지역은 위락시설 등이 추가 조성되고 있으므로 자생지의 주변 식생에 대한 관리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조사지역의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총 1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Table 6), 보존 등급이 높은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CR)에서 vulnerable (VU)까지의 등급에 해당되는 종은 총 6분류군이다. 이들 중 멸종위기종(CR)은 목련, 미선나무, 노랑붓꽃의 3분류군이 있으나 모두 식재된 것이며, 취약종(VU)은 세뿔투구꽃, 왜박주가리, 천마의 3분류군이며, 위기종(EN)은 발견되지 않았다(Table 6). 이들 중 세뿔투구꽃은 경상도와 지리산, 전남 백운산 등의 주로 우리나라 남부지역에 자생하는 특산식물(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Lim et al., 2017)로 본 조사지에서는 황석산 남사면 해발 600 m 이상의 등산로 주변에서 큰꽃으아리, 다래, 개옻나무, 짝자래나무 등과 함께 생육하고 있었다. 그러나 자생지 주변에서 확인된 개체 수는 많지 않고, 인근 사찰 및 수련원의 방문객 또는 등산객의 왕래가 빈번하여 이들에 의한 훼손이 예상되며, 세뿔투구꽃의 개체군 보전을 위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왜박주가리는 기백산 동사면의 고학리에서 늘밭고개로 가는 등산로에서 확인되었으나 개체 수가 적고, 등산로 주변에 생육하고 있어 제초 및 탐방객 유입 등에 의한 자생지 훼손이 우려되기 때문에 적절한 조치가 요구된다. 또한 천마는 황석산 서사면의 피바위 주변에서 소수 개체가 발견되었으며, 주위에는 함박꽃나무, 대팻집나무, 얇은잎고광나무, 노루오줌 등이 생육하고 있었으나 등산로 주변에 생육하고 있어 답압 및 불법 채취 등과 같은 인위적 간섭에 의한 피해가 우려되므로 이에 대한 보전 및 관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 식물은 미선나무, 노랑붓꽃, 세뿔투구꽃의 3분류군이며, 모두 2등급에 해당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자연환경 평가를 위한 식물군으로 국내 주요종의 보존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등급화하여 특정한 지역공간 내 분포현황을 통해 자연환경의 우수성 정도 및 상대적 우열을 파악하는 데 이용하고자 선정한 목록이다(Kim, 2000;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조사지역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총 107분류군이며, 이들을 등급별로 구분해 보면 V등급에는 노랑팽나무와 세뿔투구꽃을 비롯한 5분류군이 있으나, 이들 중 목련, 미선나무, 노랑붓꽃의 3분류군은 식재된 것이며, IV등급에는 가는잎개고사리, 가지괭이눈, 꽃싸리, 파란여로, 왕김의털의 5분류군, III등급에는 식재된 구상나무, 낭아초, 탱자나무, 단풍나무, 이팝나무를 포함하여 29분류군, II등급에는 긴꽃고사리삼을 비롯한 30분류군, I등급에는 개비자나무를 비롯한 38분류군이 각각 확인되었다(Table 7). 이는 조사지 전체 관속식물 대비 약 16.5%에 해당되며, 이들 중 상대적으로 중시되고 있는 III등급 이상의 식물은 총 39분류군이나 식재종 8분류군을 제외하면 31분류군으로서 전체 관속식물 대비 약 4.77%에 해당된다.
이들 중 가지괭이눈은 주로 강원도에 분포하는 식물로 잎은 대생하고, 꽃받침은 퍼지며, 녹색이고, 심피는 컵형인 특징을 가지는데 본 조사에서 금원산 북사면의 창선리 계곡과 동사면의 유안청 계곡에서 많은 군락이 확인되었다. 꽃싸리는 중국, 한국에 자생하는 식물로 국내에서는 경상도 지역에서만 분포가 확인되고 있는 분포 특이식물이다(Oh et al., 2016). 본 조사에서 꽃싸리는 황석산의 피바위 주변 등산로에서 확인되었으며, 소나무, 쇠물푸레나무, 조릿대와 함께 생육하고 있었다.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 4등급 이상의 분류군 중 자생하는 종들은 다소 제한된 분포를 보이며, 자생지는 소수의 개체로 구성되므로 추후 자생지 보존과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인가목조팝나무는 경기, 강원, 충북, 경북, 전북에 분포하며, 줄기는 각이 지고, 화서는 산형상 산방화서이며, 묵은 가지에 달리고, 수술은 30개 이상이며, 길이는 꽃잎의 2배 이상인 특징이 있는 식물로 본 조사지역에서는 기백산의 정상부 능선에서 3개체가 발견되었다. 지금까지 알려진 인가목조팝나무의 분포역(Oh et al., 2016)을 미루어볼 때 본자생지는 식물지리학적으로 남방한계분포지로 판단된다.
외래식물조사지역에서 확인된 외래식물은 19과 43분류군이다(Table 8). 이는 조사지의 전체 관속식물 대비 약 6.6%로서 우리나라의 평균 귀화율인 10.3% (Koh et al., 1995)보다는 낮은 편이다. 조사지역의 외래식물을 분류군 수가 많은 과별로 정리해 보면 국화과가 돼지풀, 망초, 코스모스 등의 10분류군, 벼과가 큰이삭풀, 오리새, 큰김의털 등의 5분류군, 마디풀과가 애기수영, 묵밭소리쟁이, 소리쟁이 등 4분류군 순이다. 국내 정착 및 확산여부에 따른 외래식물 분류기준으로 구분해보면 침입외래식물(invasive alien plant)은 29분류군, 잠재침입외래식물(potentially invasive plant)은 9분류군, 사전귀화식물(Arc., archaeophyte)은 5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사지역 내 생태계교란종은 애기수영, 돼지풀이 2종으로 확인되었다. 애기수영과 돼지풀은 황석산 서사면의 사방댐과 임도 주변부에서 발견되었다. 확인된 위치와 생태계교란종의 개체군 크기로 보아 등산객 및 임도 공사에서 종자가 유입되어 발아한 후 정착하여 군락을 형성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이 산림 내에 침입하여 추가적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제거 및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용도별 구분조사지에서 확인된 관속식물 중 Lee (1976)에 근거한 유용식물은 500분류군으로서 전체 관속식물 649분류군의 77%에 해당된다. 이들을 용도별로 구분해보면 식용식물 257분류군(39.6%), 섬유용식물 8분류군(1.2%), 약용식물 206분류군(31.7%), 관상용식물 84분류군(12.9%), 목초용식물 220분류군(33.9%), 공업용식물 4분류군(0.6%), 염료용식물 13분류군(2.0%), 목재용식물 23분류군(3.5%)이었다(Table 9). 또한 전체 649분류군 중 238분류군이 2가지 이상의 용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9, Appendix 1).
ACKNOWLEDGMENTS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KNA1-1-18, 15-3) and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201801206).
Table 1.Table 2.
Table 3.
Table 4.Table 5.Table 6.Table 7.Table 8.Literature CitedChung, G.Y.. Chang, K.S.. Chung, M.. Choi, H.J.. Paik, K. and Hyun, O..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7: 264-288.
Geochang-gun. 2018. Geochang Statistical Yearbook. Geochang, 465 (in Korean).
Hamyang-gun. 2018. Hamyang Statistical Yearbook. Hamyang, 520 (in Korean).
Jeong, Y.J.. 2017.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flora of Mt. Geomangsan in Hamyang. MS thesis. Graduate School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Jinju, Korea. 42 (in Korean).
Kang, S.O.. 1971. New Korea Geography. Saegeulsa, Seoul. 606 (in Korean).
Kim, C.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I. Selection of plant tax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18: 163-198.
Kim, J.W.. 201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scular plants and forest structure in Gibaeksan(Mt.). MS thesis. Graduate School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Jinju. 66 (in Korean).
Kim, M.. 2007a. Celtis edulis Nakai.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W. (ed.), Academy Publ. Co., Seoul. 242 pp.
Kim, Y.D.. 2007b. Rodgersia podophylla A. Gray.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W. (ed.), Academy Publ. Co., Seoul. 522 pp.
Koh, K.S.. Kang, I.G.. Suh, M.H.. Kim, J.H.. Kim, K.D.. Kil, J.H.. Rhu, H.I.. Kong, D.S.. Lee, E.B. and Chun, E.S.. 1995.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s (I): Naturalized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215 (in Korean).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809 (in Korean).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Geobook Publishing Co., Seoul. 332 (in Korean).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000 (in Korean).
Korea National Arboretum. 2019. Checklist of Alien Plants in Korea. Dooroo Happy Co., Seoul. 225 (in Korean).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534 (in Korean).
Kwon, Y.C.. An, H.C.. Cho, H.S. and Choo, G.C.. 1997. Studies on the woody plants of Keum Won San Recreation Forest. Journal of Agricultur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hinju National University) 10: 31-41.
Lee, T.B.. 1976.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s in Korea. Bulletin of the Arboretum, Seoul National University 1: 1-137.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990 (in Korean).
Lee, T.B.. 1986. Vegetation of Mt. Paegun of Hamyang. The Report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24: 61-71 (in Korean).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yangmunsa, Seoul. Vol. I, 914 pp, Vol. II, 910 pp. (in Korean).
Lee, W.-T. and Yim, Y.J..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8 (Appendix): 1-33 (in Korean).
Lee, W.T. and Yim, Y.J.. 2002. Plant Geography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412 (in Korean).
Lee, Y.N.. 1996. Flora of Korea. Gyohaksa, Seoul. 1247 (in Korean).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Gyohaksa, Seoul. Vol. I, 974 pp, Vol. II. 885 pp. (in Korean).
Lee, Y.N. and Oh, Y.J.. 1986. An investigation for flora on Mt. Paegun, Mt. Kipaeg and Hwangsŏk mountain. The Report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24: 41-60 (in Korean).
Lim, C.E.. Noh, T.K. and Park, W.. 2017. Aconitum austroKoreense Koidz. Flora of Korea. Vol. 2a. Magnoliidae.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ed.),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49-50.
Melchior, H.. 1964. An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üder Borntraeger, Berlin. 666 pp.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Floristic Target Species (FT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728 (in Korea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2012 The Investigation to Find the Good Area of Ecological Landscap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541-674 (in Korean).
Oh, B.U.. 2007. Smilacina bicolor Nakai.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W. (ed.), Academy Publ. Co., Seoul. 1313 pp.
Oh, B.U.. Jo, D.G.. Ko, S.C.. Im, H.T.. Chung, G.Y.. Jang, C.G. and Kang, S.H.. 2010.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VII. South Province (Gyeongsangnam-do) and Ulleung-do Province. Korean Forest Service, Daejeon and Korean National Arboretu, Pocheon. 776 (in Korean).
Oh, B.U.. Ko, S.C.. Kang, S.H.. Paik, W.K.. Yoo, K.O.. Im, H.T.. Jang, C.G.. Chung, G.Y.. Choi, B.H.. Choi, H.J.. Lee, Y.M.. Shin, C.H.. Choi, K.. Han, J.S.. Park, S.H.. Kim, H.J.. Chang, K.S.. Yang, J.C.. Jung, S.Y.. Lee, C.H.. Oh, S.H. and Jo, D.G.. 2016.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809 pp.
Oh, H.-K.. Shin, T. and Beon, S.. 2008. Investiga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Eco-Arboretum Site, Mt. Gumwon.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1: 117-127.
Oh, H.-K.. Kim, C. and You, H.. 2015. Study on flora distributed around Mt. Hwangseok, Gyeongsangnam-do for selecting the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4: 51-65.
Park, C.W..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1482 pp.
Park, J.H.. Im, J.T.. Gu, G.H.. Cho, M.K.. Jung, H.R.. Lee, J.H. and Moon, H.S.. 2007. Species composition of forest vegetation in the Mt. Geumwon recreational fores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6(2): 149-158.
Seok, J.C.. Kim, O.R. and Choo, G.C.. 2003. Vascular plants of Keumwonsan area. Journal of Agricultur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hinju National University) 16: 91-113.
Shin, H.C.. 2015. Vegetation structure and dynamics of northwest slope in Hwangseoksan (Mt.). MS thesis. Graduate School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Jinju. 42.
Yim, Y.J. and Kira, T..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anese Journal of Ecology 25: 77-88.
APPENDICESAppendix 1.List of the vascular plants of Gibaeksan Mt. county park and its neighboring mountains.
kjpt-50-2-166-app.pdf
|
|